◇ 메르스 충격 벗어나는 시점서 전방위 악재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여파가 가시면서 저성장 탈출을 꾀하던 한국 경제가 순식간에 고꾸라지고 있다.
금리 인상을 앞둔 미국과 위안화 절하에 나선 중국 등 이른바 주요 2개국 `G2` 사이에서 한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 고질적인 불안요인인 북한 리스크까지 불거졌기 때문이다.
정부가 꺼져가는 경제 회복의 불씨를 다시 살리기 위해 추가 경정예산을 편성하는 등 경제 처방전을 내놨지만 여러 악재가 한꺼번에 쏟아지자 경제 주체들의 불안 심리는 가중되고 있다.
이에 기획재정부는 시장이 과도하게 불안해하고 있다면서도 합동점검대책반을 가동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시나리오별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 `G2 리스크`에 북한 기습 도발까지 겹쳐
21일 우리 금융시장 충격은 그동안 잠재된 `G2 리스크`가 재부각된 데다 지정학적 위험 요인까지 겹친 측면이 컸다.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던 미국 금리 인상 이슈가 다시 불거졌고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로 중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더해졌다.
이달 그리스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가 일단락된 직후 세계 경제를 지탱하는 양대 축인 미국과 중국발(發) 불확실성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진 것이다.
이날 아시아 금융시장이 동반 급락한 것도 같은 배경이다.
김윤선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중국 증시가 급락하고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세계 경기 둔화 우려가 불거졌다"며 "한국뿐 아니라 신흥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자산가격이 급등락하는 변동성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증권사의 한 관계자도 "`울고 싶던 차에 뺨 맞은 격`으로 G2 리스크로 불안을 느끼던 투자자들이 북한 위험까지 터지자 이를 핑계로 매도 규모를 늘리면서 시장이 충격을 받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 정부 "비상계획 준비 단계"
정부는 21일 오전 주형환 기재부 제1차관 주재의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불안감 차단에 나섰다.
주 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과거 경험에 비춰볼 때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며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우리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에 그쳤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미국과 중국발 대외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인 만큼 `합동점검대책반`(반장 정은보 차관보)을 구성해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등 관련 기관들도 별도의 대책 회의를 개최하는 등 시장 점검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