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50824/B20150824143440483.jpg)
<앵커>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 속에 중국 위안화 절하와 북한의 포격 도발까지 여러 악재가 한꺼번에 터지면서 우리 경제가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정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근본적인 방안으로 우리의 실물 경제체질 강화를 위한 대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유은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대외 악재에 우리 환율과 주식시장이 연일 출렁이면서 경제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그러나 우리 금융시장의 변동은 자연스런 반응으로 통제 가능한 범위내에서 움직이고 있어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기재부 차관보를 반장으로 하는 금융시장 점검 대책반을 지난 21일부터 가동해 주말에도 비상근무를 하며 모니터링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해외투자자와 선물시장, 외신 등에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면서 발생가능한 시나리오별로 대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대책반 반장인 정은보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여러 방안을 구상하고 있지만 현재 상황(24일)을 기준으로 급격한 시장 변동이 생기지 않는 한, 시장개입과 관련한 대책을 내놓지는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근본적으로는 우리 실물경제와 체질 강화가 중요하다고 보고 전반적인 대책마련에 들어갔습니다.
오는 26일 정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소비활성화 방안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메르스 사태 극복 후 경기가 조금 살아나려던 차에 이번 금융리스크가 생긴 만큼, 그 회복의 불씨를 살려 경제성장을 이끈다는 계획입니다.
같은 날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는 FTA를 활용한 외국인 투자 활성화 방안과 메르스 이후 외국인 관광객 유치 특별대책 등을 마련해 실물 경제 강화에 나설 예정입니다.
근본적으로는 우리 경제 체질을 바꾸지 않고서는 비슷한 위기는 반복된다고 보고 노동과 금융, 공공, 교육 등 4대 개혁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정부는 26일까지 한국노총이 노사정위에 복귀하지 않으면 노동개혁을 독자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향후 경제 관련 정책집행에 강경 모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유은길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