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장미라 박사팀이 2014년 2월과 6월에 서울에서 영업 중인 음식점의 주요 메뉴(25종, 144건)와 김치(50건)의 나트륨과 칼륨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서울지역 음식점 메뉴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비교)는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최근호에 소개됐다.
서울 소재 음식점의 26개 메뉴 가운데 나트륨 함량이 최고인 것은 김치(100g당 554.9㎎)였다. 이는 최저인 설렁탕(24.2㎎)에 비해 약 23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번 조사에선 유독 설렁탕의 나트륨 함량이 낮았다.
보건환경연구원 김리라 연구원은 “설렁탕은 대개 음식이 조리돼 나온 뒤 소비자가 직접 간을 맞춘다”며 “이번 연구에선 추가로 간을 하지 않은 설렁탕을 대상으로 분석해 나트륨 함량이 낮게 나온 것 같다”고 해석했다.
김치 다음으로 나트륨이 많이 든 음식은 꽁치김치찌개(100g당 390.8㎎)였고, 이어 된장국(388.4㎎)ㆍ된장찌개(374.1㎎)ㆍ김치찌개(370.5) 순이었다.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량(2000㎎)보다 2배 이상 높은 4791㎎(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으로 알려져 있다. 나트륨 권고량인 2000㎎은 소금 분량으론 5000㎎(찻숟가락 한 개)에 해당한다.
나트륨이 혈압을 올리는 미네랄이라면 칼륨은 나트륨의 체외 배설을 도와 혈압을 조절하는 미네랄로 알려져 있다.
이번 조사에선 김치는 나트륨뿐만 아니라 칼륨 함량도 최고치(100g당 225.1㎎)를 보였다. 칼륨 함량이 최저였던 설렁탕(12.7㎎)에 비해 18배 가까이 많이 든 셈이다.
연구팀은 “설렁탕은 다른 메뉴에 비해 채소가 적어 칼륨도 덜 들어 있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장 박사팀은 서울 소재 음식점 메뉴의 나트륨과 칼륨의 비율도 산출했다. 나트륨 대(對) 칼륨의 섭취비율이 1에 가까울수록 고혈압 예방ㆍ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다.
나트륨 대 칼륨의 비율에선 불고기(1.2)가 가장 이상적인 음식으로 판명됐다. 오리탕ㆍ콩비지찌개ㆍ청국장찌개의 나트륨 대 칼륨의 비율도 모두 2를 넘지 않았다. 반면 나트륨 대 칼륨의 비율이 10이 넘는 음식(칼국수ㆍ잔치국수)도 나왔으며 특히 우동은 그 비(比)가 26.2에 달했다.
장 박사팀은 면류ㆍ국과 탕류ㆍ찌개와 전골류ㆍ볶음류ㆍ김치류 등 5가지 음식군(群)의 나트륨과 칼륨 함량도 함께 조사했다. 음식군별 나트륨 함량에서도 김치류가 100g당 554.9㎎으로 단연 최고였다. 다음은 찌개와 전골류ㆍ국과 탕류ㆍ볶음류ㆍ면류 순서였다. 칼륨 함량도 김치류가 100g당 225.1㎎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해선 국물 적게 먹기ㆍ추가적인 간 하지 말기 등의 식습관의 개선이 필요하다”며 “적절한 나트륨 대 칼륨의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혈관 건강에 이롭다는 사실도 강조하고 싶다”고 지적했다.
나트륨 평균 함량 Top 10
순위 음식명 해당 음식 100g당 나트륨 함량(mg)
1 김치 554.9
2 꽁치김치찌개 390.8
3 된장국 388.4
4 된장찌개 374.1
5 김치찌개 370.5
6 매운탕 323
7 청국장찌개 300
8 대구매운탕 296.2
9 닭개장 293.8
10 우동 273.1
칼륨 평균 함량 Top 10
순위 음식명 해당 음식 100g당 칼륨 함량(mg)
1 김치 225.1
2 청국장찌개 174.8
3 불고기 174.3
4 매운탕 171.5
5 콩비지찌개 166.2
6 꽁치김치찌개 156.1
7 오리탕 130.9
8 된장국 118.1
9 김치찌개 109
10 된장찌개 104.9
나트륨 대(對) 칼륨의 비(比), Top 10
1에 가까울수록 혈관 건강에 이롭다.
순위 음식명 나트륨 대 칼륨의 비
1 불고기 1.2
2 오리탕 0.8
3 콩비지찌개 1.4
4 청국장찌개 1.7
5 매운탕 1.9
6 설렁탕 2.1
7 꽁치김치찌개 2.5
8 김치 2.6
9 닭곰탕 2.7
10 뼈다귀 해장국 2.8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