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50917/B20150917131806650.jpg)
소방오토바이 (사진=MBC뉴스 방송화면캡쳐)
소방오토바이, "작년에는 사용도 안했다"…한 대 가격은?
화재 시 초기 진압을 위해 도입된 서울시 `진화기동대 오토바이`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늘(17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신의진(새누리당) 의원이 서울시의 `소방오토바이 시범운영 결과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6월부터 8월까지 시범사업 기간 화재 현장에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 소방오토바이가 먼저 온 횟수는 6건이었다.
나머지 59회는 소방차 뒤를 따라 출동했으며, 특히 종로에 배치된 소방오토바이의 소방차 출동 전 도착 횟수는 단 1회에 불과했다.
2012년 도입된 소방오토바이의 최근 3년간(2012∼2014년) 화재 출동은 총 38회에 그쳤는데, 지난해에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소방오토바이가 출동하지 못하는 사유로는 오토바이를 운전할 2종 소형면허 소지자가 부족하고 출동 중에는 무전교신 통신장애가 발생해 정확한 화재현장을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 꼽힌다. 또 현장에선 1천255cc의 오토바이가 무거워 넘어지는 일이 빈번, 출동 자체를 포기한 상황.
2009년 옛 소방방재청(현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이 소방오토바이 운영실태를 분석한 결과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소방오토바이가 불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신 의원은 "서울시는 탁상행정의 전형인 진화기동대 오토바이 사업을 조속히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과거 한 대당 1900만원에 도입된 소방 오토바이는 실을 수 있는 진화 장비가 소화기 3대이다 보니 1대당 10초씩, 30초면 분사 작업이 끝나 초기 불길을 잡기에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 무료 웹툰 보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