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고소영 (사진 = 엘르) |
고소영이 한 일본계 종합금융회사의 이미지 광고 모델에 응했다가 여론의 십자포화를 맞았다. 그 회사의 사업내용이 국내 대부업과 연관이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고소영 측은 해당 회사와 협의 후 광고 해약을 완료했다고 알렸다. 하지만 이미 고소영의 이미지는 중대한 타격을 받은 후다.
제일 아쉬운 건 최초 판단이다. 적어도 톱스타라면 돈 준다고 아무 기업 광고나 덥석 하면 안 된다. 그 기업의 사업내용과 신뢰성, 사회적 유해성 여부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광고에 나서야 한다. 특히 한국은 연예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단히 민감하기 때문에 주목을 많이 받는 톱스타는 두 번 세 번 심사숙고해야 한다.
인지도가 그리 높지 않은 사람이거나 돈이 필요해서 한 생계형 광고 계약이라면 대중도 어느 정도는 유연하게 봐준다. 그러나 막대한 광고 수익을 올리는 톱스타는 더욱 엄격한 시선을 받는다. 특히 고소영은 연예매체에서 연예계 부동산 부자를 꼽을 때 으레 이름을 올리는 스타이기에 더욱 조심했어야 했다.
어쨌든 일은 벌어졌고 최초 판단이 잘 못 된 건 돌이킬 수 없다. 그렇다면 사후 대처라도 현명하게 했어야 했다. 바로 이 대목이 아쉬운 부분이다. 잘못된 대처로 인해 고소영은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고 있다.
문제제기가 나왔을 때 고소영 측이 "대부업과는 무관한 기업 이미지 광고"라며 자신들의 정당성을 주장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바로 이것이 상황을 최악으로 이끌었다. 말이 아 다르고 어 다르다. 같은 내용의 말을 해도 잘못 인정과 사과의 느낌을 넣었어야 했다. "대부업 내용을 잘 모르고 그냥 금융그룹 이미지 광고인 줄만 알고 계약했다"며 부주의를 사과하고 조치를 약속했다면 비난이 최소화 됐을 것이다. 모르고 한 잘못이라는데 누가 정도 이상으로 뭐라고 하겠나?
고소영 측은 자신들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문제제기하는 사람들을 무시하는 대응을 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거센 반발을 자초했다. 처음에 사태파악이 늦어서 바로 사과를 하기가 어려웠다면, 즉각 정당성 주장을 하기 전에 정확한 상황파악부터 하는 신중함이 있어야 했다.
얼마 전 배우 윤은혜도 표절 논란에 대해 지나치게 공세적인 해명을 했다가 거센 반발을 자초했다. 표지화보 논란의 맥심 측도 논란 초기에 공세적인 해명을 했다가 더 큰 비난을 받았다. 논란이 생겼을 때 섣부른 공세는 이렇게 최악의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해명의 `태도`가 일을 더 키울 수 있는 것이다.
이번에 고소영 측은 정말 아무 생각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금융기업 이미지 광고라니까 `그런가보다`라고 받아들인 것 같다는 말이다. 하지만 톱스타의 광고는 `아무 생각 없이` 결정돼선 안 된다. 톱스타는 자신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 한다.
책임을 지려면 알아야 한다. 자신이 하는 일의 사회적 의미를 말이다. 우리나라에서 2000년대 이후에 금융대출붐이 얼마나 많은 서민 피해자를 양산했는지, 그 맥락을 알았다면 금융회사 이미지 광고라고 덥석 하진 않았을 것이다. 금융이 대단히 예민한 분야라는 걸 알았다면, 광고 제의를 받아도 서민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금융인지 그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먼저 따져봤을 것이다.
설사 부주의하게 계약했더라도 대부업 논란이 일어난 순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즉각 사과로 대처했을 것이다. 첫 해명이 자신들의 정당성 주장의 느낌으로 나온 건 사태의 사회적 심각성을 전혀 몰랐다는 뜻이다. 그것이 고소영에게 대중의 질타라는 부메랑으로 돌아갔다.
이번 일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걸 말해준다. 사회적 영향력이 큰 사람일수록 사회적 교양이 필요하다. 해도 되는 일과 해선 안 되는 일을 구분할 수 있는 지적 능력 말이다. 어떤 행위가 사회적 질타를 받는지 정도는 알아야 지뢰를 피해갈 수 있다. 연예인도 그렇고 기획사 관계자도 그렇고, 최소한 신문은 보고 사는 것이 좋겠다.
하재근 문화평론가
※ 외부 필진의 의견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