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 특정 대기업 의존도,주요 15개국 가운데 가장 높아

입력 2015-09-30 10:01  

`국가대표` 기업의 매출액을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했을때

한국 경제의 삼성전자 의존도가 주요 15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30일 국제통화기금(IMF)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1,959억2천만 달러(223조9천억원)로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액(GDP)인 1조4,169억 달러(1천691조원)의 13.83%를 차지, GDP 1조 달러가 넘는 15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는 것.

국가 내 부가가치의 합인 GDP와 기업의 총판매액을 뜻하는 매출액은 개념이 달라 단순 비교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나

특정 국가가 특정 기업에 어느 정도 의존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삼성전자의 매출이 국내보다 해외가 훨씬 크다는 점에서 GDP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기는 하다.

영국의 BP 매출액(직전 회기연도 기준)은 3,535억7천만 달러로 GDP(2조9,451억 달러)의 12.01%에 이르러 삼성전자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나머지 13개국에서 매출 1위 기업의 GDP 대비 매출액 비율은 모두 10% 미만이었다.

러시아 대표기업인 가스프롬은 GDP 대비 매출액 비율이 7.97%로 3위였고 이탈리아 엑소르(7.56%), 프랑스 토탈(7.45%)이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독일의 자동차업체 폴크스바겐은 한 해 동안 2,689억6천만 달러의 매출을 올려

독일 GDP 총액(3조8,595억 달러)의 6.97%에 이르렀다.

스페인 방코 산탄데르(6.83%), 브라질 페트로브라스(6.10%), 일본 도요타(5.39%), 멕시코 아메리카 모빌(4.97%),

중국 시노펙(4.35%)의 비율은 7%를 넘지 않았고 호주 웨스파머(3.82%)와 인도의 인도석유(3.59%), 미국 월마트(2.79%),

캐나다 매뉴라이프(2.69%)의 매출액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나라 경제가 몇몇 대기업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지면 기업이 흔들릴 때 경제 위기에 빠질 가능성도 당연히 커지는데

노키아의 몰락에 핀란드 경제가 휘청거린 사례나 최근 `폴크스바겐 사태`로 독일 경제에 대한 우려감이 나오는 것이 좋은 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