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만큼 수출 경쟁력이 약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국제결제은행(BIS)의 월간 실질실효환율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4곳과
브라질과 인도, 중국, 러시아 등 4개국 가운데 실질실효환율이 6번째로 높았다는 것.
실질실효환율은 각국의 물가와 주요 교역상대국 통화 대비 자국 통화의 대외 가치를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
기준점 대비 환율이 높아지면 통화의 구매력은 커졌지만, 수출경쟁력은 낮아졌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BIS가 매달 발표하는 실질실효환율은 2010년 100을 기준으로, 61개 국가의 통화가치를 반영해 산출하는데
한국의 9월 실질실효환율은 108.33으로 2014년 3월(107.89) 이후 1년6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38개국 가운데 8개 국가를 제외하고는 모든 국가의 실질실효환율이 기준점 아래로 떨어졌다.
한국보다 높은 곳은 중국과 아이슬란드, 미국, 영국, 스위스 뿐이었다.
특히 중국은 130.94까지 올라 실질실효환율 절상폭이 가장 컸고
미국(114.05)과 영국(117.13)은 경제성장률이 양호한 모습을 보임에 따라 실제로 명목 통화가치 절상폭이 컸다.
실질실효환율이 가장 많이 떨어진 국가는 신흥국 위기 때마다 거론되는 브라질(64.18), 터키(77.09) 등이었다.
원자재 가격 폭락의 여파도 실질실효환율에 고스란히 나타났다.
올해 1분기와 2분기 모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며 경기침체를 나타낸 원자재 부국 캐나다도 80.97까지 하락했고,
천연자원이 풍부한 노르웨이의 크로네는 83.45를 나타냈다.
중국발 수요 둔화의 직격탄을 맞은 철광석이 석탄 등이 풍부한 호주의 호주달러도 86.78로 절하폭이 두드러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