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은행이 대기업의 연체율 상승 등 국내 기업들의 잠재적 부실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특히 조선, 운수, 철강 업종의 한계기업 비중이 급증한 만큼 우선적인 구조조정 대상이라는 주장입니다.
산업은행은 30일 `기업금융 조기경보 리포트`를 발표하고, 최근 실물부문의 위축에 따른 기업 부실화 가능성 증가에 유의하고, 취약업종 및 한계기업에 대한 여신관리의 강도를 높일 필요성 대두된다고 밝혔습니다.
산은의 `기업금융 조기경보 리포트`는 장기, 중기, 단기의 금융지수로 구성, 올해 1월부터 매 분기마다 기업금융 시장과 금융시스템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담아 나오고 있습니다.
조사 결과 장기와 중기 금융지수가 모두 상승, 국내 금융시스템이 전반적으로 팽창하고 있는 가운데, `만성적 한계기업`이 크게 늘어 잠재적 부실 가능성에 유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은 측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신용위험이 3분기 상승 반전했고, 연체율도 6월 이후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대기업의 연체율(1.04%)이 3년만에 중소기업 연체율(0.99%)을 초과하는 등 대기업의 경쟁력 약화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대기업의 한계기업 비중도 2009년 9.3%에서 지난해 14.8%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한계기업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업종으로는 조선업이 12.1%포인트(6.1%→18.2%) 높아지며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운수업(8.9%포인트↑), 철강(6.9%포인트↑)이 뒤를 이었습니다.
산업은행 심사평가부문 이해용 부행장은 "기업의 매출액 감소세가 심화되고 있다"며, "대기업 중심업종인 조선·운수·철강 업종의 한계기업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관련 산업의 구조 개편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