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취업자만 놓고 보면 50대(50세) 이상의 장년·노년층이 30대(39세) 이하 청년층을 사상 처음으로 앞질렀다.
한국경제의 허리에 해당하는 연령대인 40대를 사이에 두고 노동인구의 무게 중심이
30대 이하에서 50대 이상으로 옮아간 셈이어서 주목되는 현실이 아닐 수 없다.
1일 통계청의 고용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올 3분기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 기준) 2,716만6천명 가운데 50세 이상은 1,011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975만3천명)보다 35만7천명(3.7%) 늘어 분기 기준으로 처음 1천만 명을 넘어선 수치가 나왔다.
반면에 39세 이하 경제활동인구는 1,021만7천명으로 작년 3분기(1,023만4천명)에 비해 1만7천명(0.2%) 줄었다.
3분기 기준으로 10년 전인 2005년의 50대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628만2천명, 30대 이하는 1,112만1천명으로
30대 이하가 50대 이상의 갑절 가까이 됐었다.
50대 이상이 전체 경제활동인구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2005년에 4분의 1(26.3%) 남짓이었지만 올해는 거의 10명 중 4명꼴인 37.2%로 올라섰다.
같은 기간 30대 이하 점유율은 46.5%에서 37.6%로 10%p 가까이 급락했다.
고용시장의 연령별 점유율이 급변한 것은 인구구조의 변화 때문으로 저출산으로 청년층은 줄고 고령화로 노년층 인구는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전쟁 직후부터 형성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모두 50대에 진입한 영향도 컸다.
여기에 고용시장에 처음 진입하는 청년층의 취업난과 노후를 대비하려는 고령층의 은퇴연령 상승도 원인으로 꼽힌다.
취업자 규모에서는 이미 올해 2분기부터 50대 이상이 30대 이하를 추월했다.
월급생활자 영역에선 퇴직연령에 임박한 부모나 환갑을 넘어서도 일하는 조부모가 일자리가 있는 자녀나 손자들보다 많아진 것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