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기 뿐 아니라 나와 남편, 우리 부모님이 어떻게 이 곳에 오게 됐는지 그 과정을 공부하는 것은 우리 아이를 맞이하기 위한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정자와 난자가 수정되는 과정은 `시험관아기`시술이 시작되면서 일부나마 관찰이 가능해졌다.
세계 최초의 시험관아기는 1978년 7월25일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난 `루이스 브라운`이다.
당시에는 `체외수정 및 수정란 이식`이라는 방법에 의해 태어난 아이를 자연적인 임신이 아니라는 이유로 받아들이기 힘든 사회적인 분위기가 있었다.
브라운의 부모는 아기 탄생 이후 희망의 편지 뿐 아니라 "건강하지 못할 것"이라는 저주의 편지도 받았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하지만 올해 37세가 된 루이스는 건강하게 자라 결혼했고, 아들까지 낳았다.

조정현 대한산부인과의사협회 부회장은 "생식내분비학적으로 새로운 생식방법(체외수정과 수정란이식)이 온전히 생식 능력을 보존해 준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에서는 1985년 서울대 의과대학 연구팀에서 최초로 시험관 아기 출산이 이뤄졌고, 현재는 전세계 500만명 이상의 아기가 시험관 수정을 통해 태어날 정도다.(2012년 기준)

사실 아기가 태어나는 과정은 엄마의 훨씬 이전인 엄마의 엄마, 즉 외할머니 때 부터 시작됐다.
아기가 되기 위해 엄마의 난소에서 배란된 난자는 엄마가 외할머니의 뱃속에서 임신 5개월 정도 됐을 때 만들어진 것이다.
이미 그 때 난자를 움직이고 통제하는 사령부인 `핵`이 형성됐고, 이 난자가 추후 아기의 생명체가 된다.
반대로 말하면 임신 5개월 생식기가 만들어지는 시기의 엄마의 몸상태가 내 딸과 내 손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조 부회장은 "가임기 여성의 배란 되기 3일 전의 난자와 할머니 뱃속에서 형성된 난자의 핵형에는 차이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배란이 될 때까지 난자의 크기가 커지고, 난자를 둘러싼 영양세포인 난포세포도 많아지며, 황체형성호르몬(LH)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시점에 난자는 난소 밖으로 나가 아빠에게서 온 정자와 만나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 때 여성의 몸에도 변화가 생긴다.
에스트로겐의 수치가 높아지면서 배란일 2~3일 전에는 자궁의 점액양과 촉감이 변한다.
정자가 들어왔을 때 난자까지 잘 도달하기 위한 환경을 몸에서 만들어주는 것이다.
엄마들의 커뮤니티에는 이 것을 `날계란`에 비유하기도 한다.
보통 생리 전후의 점액은 끈기가 전혀 없는 우유빛깔을 띄지만 배란일 2~3일 전에는 물처럼 투명하고 약간의 끈기가 있어 날계란 흰자의 점도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또 배란일에는 기초체온도 0.3~0.5도 떨어진다.

여성의 기초체온은 배란일과 생리일을 경계로 고온기와 저온기로 나눌 수 있는데, 생리가 시작되면 기초체온이 점점 낮아지기 시작해 배란일에 가장 체온이 낮고 이후 체온이 점점 올라 배란일이 돼도 체온이 떨어지지 않으면 임신이 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계획임신을 준비하는 엄마들은 3개월 이상을 꾸준히 소수점 두자리까지 나타나는 체온계를 이용해 매일아침 같은자세로 기초체온을 측정하기도 한다.

생명체의 반쪽인 정자는 3달전 아빠의 고환에서 만들어졌다.
아빠의 고환의 세정관이라는 곳에 붙어있는 정원세포가 약 75일간 세포분열을 통해 머리와 꼬리가 있는 정자의 형태로 변한다..
고환에서 갓 생성된 정자는 운동성이 없지만 부고환으로 이동해 저장되있는 약 15일 동안 여러가지 물질을 분비이 분비돼 정자의 운동성이 더해진다.
이 때 햄 같은 가공육이나 설탕같은 단 음식은 정자 운동성을 떨어뜨리고 콩이나 토마토, 배추 같은 녹황색 채소나 연어, 고등어 같은 오메가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정자의 운동성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정액이 여성의 질 내로 사정되면 30분동안은 마치 묵(coagulum)과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정액이 자궁 입구에 척 붙어서 자궁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끈적한 상태를 유지해주기 위함이라고하니 인체의 신비는 정말 놀랍다.
간혹 난임 부부의 경우 숙제 후 정액이 빠져나올 것을 걱정 해 다리를 위로 향한채 누워있었다는 경험담도 들을 수 있는데, 꼭 그렇게 하지 않아도 정액의 점성이 난자를 향해 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는 뜻이다.
여성의 경우도 배란일에만 자궁문이 열려 이 정액이 자궁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하고 배란일이 아닌경우 자궁문이 닫혀 정액이 흘러내린다.

이 오랜 과정을 거처 정자의 핵과 난자의 핵이 난자의 중앙에 2개가 나타났을 때 비로소 생명체의 시초가 된다.
이 수정란이 세포분열을 하고 포배기 상태로 자궁내에 들어와 착상이 돼야 임신이 됐다고 할 수 있다.
-------------
아직 끝나지 않은 `우리아이가 오는길` 더 자세한 배아의 발달과 착상이야기 다음 회에 이어집니다.
지난 기사 보기▷
`굴욕 3종세트`의 오해와 진실
`자연주의 출산`‥아이와 고통을 기꺼이 함께 하겠다면..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