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이틀에 한벌 꼴로 비나 눈이 내리는 `가을 장마`가 이어진 탓에 전국적으로 작황이 완전 엉망이기 때문이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51204/B20151204103847420.jpg)
<사진=연합뉴스>
충북의 경우 지난달 평균 기온이 예년보다 무려 4도나 높았던데다, 눈·비 온 날은 평년보다 2배 많은 16일이나 됐다.
고온다습한 날씨 속에 농가마다 선풍기와 난로 등을 동원했지만, 잔뜩 물기를 머금은 곶감이 썩거나 물러져 떨어지는 것을 막아내지 못하고 있다.
전국 감 유통량의 7%(충북의 70%)가 생산되는 영동군의 경우 올해 2,050 농가에서 깎아 말린 감이 63만6천접이나
가을장마 때문에 이 중 60%인 38만3천접이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영동군은 절반가량은 아예 상품성을 잃어 쓸모없게 된 탓에 피해 규모가 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국 최대 곶감 산지인 경북 상주지역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상주에서는 올해 3,800여 농가가 10,400t의 곶감을 생산할 계획인데, 현재까지 34%가 비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천300t의 곶감이 생산된 경남 함양을 비롯해 충남 논산, 전남 장성지역도 50% 안팎의 곶감이 썩거나 물러져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피해조사가 진행 중인데, 충북과 전남 등 일부지역의 피해율이 45∼60%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며
"전국에서 올해 곶감 생산량이 40% 정도 감소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사정이 이런 데도 정부는 피해 보상 등 뾰족한 지원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껍질을 벗겨 말리는 곶감은 농업재해대책법상 `산림 작물`이 아닌 `농산물 가공품`으로 분류되기 때문.
다시 말해 곶감은 아무리 큰 피해를 봤더라도 생계 안정, 경영 유지, 재해 예방 등을 위한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한다.
추석과 내년 설 차례상에 오를 곶감 구하기가 정말 쉽지 않을 전망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