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51215/B20151215090556603.jpg)
복수표준어 추가, `이쁘다-고프다` 등 11항목 인정…내용 살펴보니
복수표준어가 추가됐다.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고프다` 등이다.
복수표준어 추가 관련 국립국어원은 14일 국민이 실생활에 많이 쓰고 있었지만 그동안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았던 11개 항목의 어휘와 활용형을 표준어 또는 표준형으로 인정한다며 `2015년 표준어 추가 결과`를 발표했다.
복수표준어 추가로 `이쁘다`, `마실`, `찰지다`, `-고프다`는 현재 표준어인 `예쁘다`, `마을`, `차지다`, `-고 싶다)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마실은 `이웃에 놀러다니는 일`과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이라는 두 가지 뜻 중 전자에 대해서만 복수표준어가 인정됐다.
`푸르르다`(표준어: 푸르다), `잎새`(잎사귀), `꼬리연`(가오리연), `이크`(이키), `의론`(議論)(의논)은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됐다.
비표준으로 다뤄왔던 활용형을 표준형으로 인정한 경우도 있다. `말다`는 명령형으로 쓰일 때 `ㄹ`을 탈락시켜 `마/마라`로 써야 했지만, `말아/말아라`도 인정했다.
`노랗다, 동그랗다, 조그맣다`처럼 ㅎ불규칙용언이 종결어미 `-네`와 결합할 때는 `ㅎ`을 탈락시켜 `노라네/동그라네/조그마네`로 쓰도록 했지만, 현실적 쓰임을 반영해 `노랗네/동그랗네/조그맣네`도 쓸 수 있게 했다.
국어원은 복수표준어 추가에 대해 "앞으로도 언어 사용 실태 조사와 여론 조사를 통해 국민의 언어생활에 불편한 점이 없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규범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복수표준어 추가는 내년 1월 1일부터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반영된다.
복수표준어 추가, `이쁘다-고프다` 등 11항목 인정…내용 살펴보니
[온라인뉴스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