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1인가구부터 한부모·다문화가족, 이혼·재혼·조손가족 등 가족형태별 욕구에 대응하고자 처음으로 가족정책을 수립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서울형 가족정책은 `모든 가족이 행복한 가족친화특별시, 서울`이란 비전으로 일과 생활의 균형, 평등한 가족문화 조성이란 2대 정책 목표와 5대 정채과제, 59개 단위사업으로 이뤄졌습니다.
먼저, 서울시는 가족 해체 위기 예방이 시급하다고 판단해 서울가족학교를 오는 2018년까지 25개 모든 자치구로 확대하고 무료·온라인 상담도 늘릴 계획입니다.
`좋은 아빠 프로젝트`도 가동해 자녀생후 1년 이내 남성도 육아휴직을 반드시 1개월 이상 사용하게 하는 `남성 육아휴직 할당제` 등 법제도 개선을 중앙정부에 건의합니다.
또한, 올해 6월 기준 서울시에 접수된 아동학대 신고가 157건이나 발생한 현실을 고려해 아동학대 예방 교육을 대대적으로 시행하고 스쿨버스 운영도 확대합니다.
가족형태별로 서울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1인가구를 위해선 1인가구용 공공주택 공급, 안전마을 운영 등 맞춤형 환경을 조성합니다.
한부모가족은 시설 지원 중심에서 직접 지원으로 전환하고 경제적 자립을 돕고자 여성창업플라자 같은 공간을 활용해 공예창업, 카페운영 등을 지원합니다.
이혼 위기 가정, 재혼가정, 조손가정에 대해선 단계별 상담을 제공합니다.
이외에 직장맘지원센터를 2020년까지 총 4곳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튼튼한 사회안전망의 기본은 가족으로부터 시작된다"며, "급변하는 가족구조에 맞는 생활밀착형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