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보험을 활용한 시중은행의 연 10%대 중금리 대출시장이 커질 전망이다.
은행과 저축은행의 연계영업을 강화해 중금리 시장에서 저축은행의 역할을 늘리는 방안도 추진된다.
22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금리 대출 활성화 방안을 이르면 이달 중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가계 신용대출은 연 3~5%대의 은행권 대출과 연 15~34.9%의 제2금융권·대부업체 대출로 양분돼 있다.
연 10%대 전후의 대출은 시장이 없다 보니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곧바로 초고금리 대출에 의존해야 하는 `금리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셈이다.
금융위는 금리 양극화 현상을 해결하고자 우선 보증보험과 연계한 은행권 대출상품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우리은행은 지난해 5월 말 SGI서울보증의 보증보험과 연계해 모바일로 최대 1천만원을 빌려주는 중금리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한 바있다.
신용 1~7등급을 대상으로 연 5~10%의 금리를 적용하는 이 상품은 출시 후 지난해 말까지 7개월간 1만4천명에게 총 490억원을 대출하는 실적을 올렸다.
금융위는 그간의 대출 운용실적을 토대로 보증한도를 확대해 보증연계 중금리 대출상품을 다른 시중은행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서울보증과 협의 중이다.
현재 우리은행 대출상품에 적용된 보증한도는 2,500억원이다.
서울보증 관계자는 "중금리 대출 보증 한도 확대를 금융당국과 협의 중"이라며 "다만 중금리 대출과 관련해 축적된 데이터가 많지 않은 점이 한계"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저축은행, 캐피털사 등 제2금융권과 은행 간의 연계 영업을 강화해 은행이 저축은행 등의 10%대 중금리 대출 상품을 취급할 수있도록 원스톱 서비스를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은행에서 저축은행 등의 대출 상품을 소개하는 업무는 지금도 이뤄지고 있지만 그다지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업무제휴가 더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은 연 20% 이상의 고금리 대출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 SBI저축은행 등 대형사를 중심으로 연 10% 내외의 중금리 대출 상품이 나오고 있다.
올해 중 영업을 시작하게 될 인터넷전문은행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신용평가기법을 토대로 중금리 대출 영역을 확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정부가 그동안 금리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왔던 노력이 그다지 성과를 거두지 못했던 점을 고려하면 중금리 시장 개척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시중은행들은 현재 중·저신용자를 상대로 한 중금리 대출 상품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출한도가 적고 거절비율이 높아 사실상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한국SC은행은 2005년 중금리 대출상품 `셀렉트론`을 출시해 한때 인기를 끌었지만 부실비율이 높아지면서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다.
결국 중금리 대출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개인신용평가 기법을 정교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중금리 대출시장이 성숙되지 않는 것은 신뢰성 있는 신용 데이터가 축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안정된 신용 데이터만 제공된다면 금융권이 10%대 중금리 대출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도 "중금리 대출 시장의 성패는 신뢰할 만한 데이터 확보에 달려 있다"며 "다양한 공급채널로 초기 시장이 안착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