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수가 천만을 넘어서며 지난해 반려동물산업 전체 규모가 2조 원을 웃돌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 2일 내놓은 2015년 12월 연간 소매판매 및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쇼핑몰의 애완용품 거래액은 2,600억 원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4년보다 31.6% 증가했다.
이런 현실을 반영하듯 최근 예능, 드라마에도 애완동물을 소재로 한 방송도 늘어나고 있다. 국내 최초 고양이를 소재로 한 MBC every1 `상상고양이`를 비롯해 동물들이 드라마에 등장하며 감초 역할을 해왔다.
예능에서 펼쳐지는 동물들의 활약은 더욱 두드러진다. tvN `삼시세끼`에는 밍키, 산체, 벌이가 등장했고, 산체는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이름을 올리며 유명세를 톡톡히 치렀다. 이제는 애완동물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까지 생겨나며 펫방은 새로운 예능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예능에서 펼쳐지는 동물들의 활약은 더욱 두드러진다. tvN `삼시세끼`에는 밍키, 산체, 벌이가 등장했고, 산체는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이름을 올리며 유명세를 톡톡히 치렀다. 이제는 애완동물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까지 생겨나며 펫방은 새로운 예능 트렌드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펫방`의 대표주자로는 JTBC `마리와 나`와 채널A `개밥 주는 남자`가 있다. 우선 `마리와 나`는 피치 못할 사정으로 반려동물과 떨어져야 하는 주인들을 대신해 출연진이 1박 2일동안 `펫시터`로 나서 다양한 반려동물을 보살피는 상황이 주요한 설정이고 `개밥 주는 남자`는 반려견들과 사람의 일상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두 프로그램은 관찰 카메라 형식을 차용해 연예인이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노출한다. 그러면서 반려동물 1,000만 시대의 눈높이에 맞춘 정보도 제공한다. 반려동물을 키울 때 필요한 팁과 주의해야 할 점들을 상기시키며 주인과 반려동물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기 위한 필요 요소를 알려주고 있다.
동물들과 함께 있을 때 보이는 연예인의 새로운 모습도 볼거리다. 강호동과 현주엽, 주병진은 `펫방`을 통해 기존의 이미지를 깨고 색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강호동은 주먹만 한 고양이 토토 앞에서 어쩔 줄 몰라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강블리`라는 애칭을 얻었을 정도다.
동물들과 함께 있을 때 보이는 연예인의 새로운 모습도 볼거리다. 강호동과 현주엽, 주병진은 `펫방`을 통해 기존의 이미지를 깨고 색다른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강호동은 주먹만 한 고양이 토토 앞에서 어쩔 줄 몰라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강블리`라는 애칭을 얻었을 정도다.
하지만 `펫방`의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우려되는 부분은 있다. 너무 어린 동물이나 품종 견, 품종 묘 위주로 출연시키는 것이 불러올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것. 너무 어린 동물이 어미와 떨어지게 되면 성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방송에 나온 동물의 귀여운 모습에 반해 무작정 분양하는 사람이 늘어났다는 것도 문제다. 충분한 준비 없이 하는 분양은 동물 유기로 이어질 수 있다.
품종견과 품종묘를 선호하는 추세에 대한 인식 개선도 필요해 보인다. `펫방`에는 주로 품종묘, 품종견이 등장한다. `삼시세끼`의 마스코트 산체는 장모 치와와로 분양가가 100만 원 선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방송 후 분양을 원하는 사람이 많아져 분양가가 두 배 이상 뛰었다. 반려 동물을 소유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는 `펫방`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듯 동물도 종에 따라 성격이 다르다. 활발함이 도를 지나쳐 집안을 엉망으로 만들어 놓거나 외로움을 많이 타 혼자 사는 사람이 키우기에 적합하지 않은 종도 있다. 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턱대고 분양받았다가 키우기 힘들어졌다며 버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 `개밥 주는 남자`에서 현주엽이 반려동물 입양을 반대하는 아내 몰래 반려견을 들여오는 장면은 시청자의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동물을 싫어하던 사람도 함께 지내다 보면 정이 붙어 가족이 된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지만, 현실에서 가족의 동의 없이 반려동물을 집에 들이게 되면 동물 유기로 이어질 수 있다. 방송에서 재미로 다루는 이야기가 동물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 봐야 하는 부분이다.
이와 관련 `마리와 나` 김노은 PD는 "펫방이 우후죽순 생기는 것은 우려된다. 유기견을 입양하고 책임질 수 없는 상황을 만드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도 유기견이 아닌, 주인이 있는 사람들의 동물을 위탁받아 방송을 만들고 있다"면서 "방송을 통해 반려동물의 귀여운 모습도 보여주고 또 키우면서 힘든 것들을 포장 없이 보여주고 싶다"고 밝혔다.
`개밥 주는 남자` 측 관계자 역시 "반려견은 예쁘거나 귀여워서 키우는 존재가 아니다. 엄청난 애정과 책임감이 필요하다. 사람들에게 위로와 사랑을 주는 만큼, 사람들도 반려견에게 또 하나의 가족이라는 생각이 들었으면 좋겠다"라고 기획 의도를 알렸다.
이어 "반려견 키우는 것은 아이 키우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한다. 그만큼 힘들지만, 감동적이고 보람 있다는 것이다. `개밥 주는 남자`도 이런 생각에서 출발했다. 주병진 씨는 개밥 주는 남자 출연하면서 얼어있던 심장이 녹는 기분이라고 하더라. 시청자들도 삶의 위안과 기쁨을 찾아내는 모습에서 공감과 감동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펫방`이 살아남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보기 좋게 포장된 이야기가 아닌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물의 귀엽고 사랑스러운 모습만을 보여주기보다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에 대해 책임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펫방`의 역할이자 숙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