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도 연내 연봉제 도입을 공식화 하면서, 금융권의 성과주의를 둘러싼 갈등이 민간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4월 단체협상을 앞두고 먼저 성과연봉제를 논의하겠다던 노사 합동 TF는 끝내 무산돼, 시작부터 가시밭 길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조연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의 강력한 드라이브에 힘입어, 금융권 최고경영자들도 적극적으로 `성과주의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오는 4월초 금융사용자와 금융노조가 단체협상을 시작하는 가운데, 사용자협의회는 주요 안건으로 올해 임금 동결과 연내 연봉제 도입 등을 담은 사측 안건을 확정했습니다.
이 안건에는 저성과자의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근거조항 마련과 신입사원의 초임을 낮추는 안도 포함됐습니다.
핵심은 은행권 호봉제 타파.
사측은 올해 연공서열 중심인 호봉제를 폐지하고 성과연봉제를 전면 도입하는 안건을 적극 추진합니다.
지난 연말 은행권 성과주의가 처음 화두로 떠올랐지만 거센 노조의 반발에 밀려 좀처럼 진전을 보이지 못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공기업보다 더 강도 높은 성과주의 임금체계를 관철시키겠다는 방침입니다.
<인터뷰> 하영구 은행연합회 회장 (2월 4일)
"금융공기업보다 민간 금융사에 성과연봉제가 더 절박하고 필요한 상황.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 이상이어야 한다는게 공통된 의견"
금융노조의 반발도 거셉니다.
사용자협의회가 요청한 성과주의 도입을 위한 노사 공동 TF를 무응답으로 거절했을 뿐 아니라, 향후 총파업도 불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인터뷰> 오치화 금융산업노동조합 부장
"성과연봉제 도입을 "연내 하겠다"고 못 박아 놓고, 금융노조와 대화를 하겠다? 이게 무슨 대화를 하겠다는 태도인가. (금융당국 역시) 월권, 명확한 관치금융이다. 올해 금융권 총파업도 불사할 방침이다."
성과주의 임금체계 개혁의 성패는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객과적인 평가체계 확립에 달려있지만, 노사가 한 치의 양보도 없이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 금융권 성과주의가 자칫 부작용만 키우고 갈등의 골만 더 깊어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