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게임업체들의 신작 출시 경쟁이 뜨겁습니다.
전통적인 강자인 넷마블게임즈와 넥슨은 말할 것도 없고 네시삼십삼분과 카카오 등 후발업체들까지 가세하면서
그야말로 게임업계가 춘추 전국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주비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전성기 시절, 이종범 선수와 한 판 경기를 벌입니다.
구장이 바뀔 때마다 울리퍼지는 응원가는 실제 야구장에 온 듯한 기분입니다.
프로야구 개막과 함께 기다렸다는 듯이 게임업계는 너도나도 야구 게임 신작들을 쏟아냈습니다.
어떻게 하면 게임을 더 생생하게 즐길 수 있을까 고민한 흔적이 역력합니다.
컴투스가 개발한 `컴투스 프로야구 2016`은 실제 야구장의 모습을 그대로 구현했고
넷마블게임즈가 내놓은 `이사만루2 KBO`도 마치 실제 게임을 연상케 합니다.
게임빌이 퍼블리싱 하고 공게임즈가 개발한 `MLB 퍼펙트 이닝 16`은
국내 리그가 아닌 `미국 메이저리그`로 게이머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야구 게임만이 아닙니다.
모바일 게임 강자인 넷마블게임즈가 지난달 말 `나이츠 오브 나이트`를 내놓자
넥슨은 자체 개발작 `리터너즈`로 맞불을 놨습니다.
여기에 엔씨소프트는 올 상반기 안에 모바일판 `리니지`로 불리는 `프로젝트RK`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여기에 후발주자인 네시삼십삼분 역시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로스트킹덤을 시작으로 `삼국 블레이드`과 `스페셜포스 모바일` 등 올해 신작 18종을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의 채널 역할만 해오던 카카오는 아예 게임사업을 퍼블리싱 방식으로 바꾸는 등 게임업계에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상반기에 내놓을 역할수행게임(RPG) `오버로드`와 `원`(O.N.E)은 그 시작입니다.
연간 3조 6천억 원에 달하는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
시장을 주도하던 기존 업체들에 후발주자들이 뛰어들면서 게임 판도가 어떻게 흔들릴 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이주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