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마디로 아직도 그만큼 은행 문턱이 높다는 뜻이다.
저축은행은 특히 소액 신용대출에 집중하는 영업을 펼쳤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은행들이 대출 요건을 강화한 것이 결정적 배경이다.
<연합뉴스 DB>
18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가계대출 잔액은 1,141조 8,337억원으로 이 중 저축은행이 가계에 빌려준 대출 잔액은 13조 6,936억원으로 전체 가계대출의 1.2%였다.
전체 가계대출에서 저축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4년만 해도 1.89% 수준으로 높았으나 꾸준히 떨어져 2013년에는 0.96%까지 낮아졌었다.
지난해 저축은행의 전체 대출 중 가계대출 비중은 38.48%로 역대 최고치였다.
저축은행 대출 중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11.35%였지만 2010년 12.59%, 2011년 20.27%, 2012년 27.42%, 2013년 31.57%, 2014년 34.25%로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영업의 최종 타깃이 기업대출이 아닌 소액 가계대출로 이동했다고 보면 된다.
당연히 기업대출 비중은 꾸준히 하락,지난해에는 60.04%로 떨어졌고 일부 대형 저축은행은 기업 대출보다 아예 가계대출 비중이 더 큰 곳도 있다.
자산 2조원이 넘는 3개 저축은행 중 OK저축은행과 HK저축은행은 지난 회계연도(2015년 7월~12월)에서 가계에 빌려준 대출금 비중이 각각 66.7%, 50.11%였고 SBI저축은행의 가계 대출 비중도 41.02%였다.
저축은행들의 영업전략 변화도 주효했지만 시중 은행의 가계대출이 깐깐해진 것도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이 늘어난 이유다.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를 보면 가계대출에 대한 국내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지난해 1분기와 2분기에는 각각 6과 3으로 플러스(+)였지만 3분기와 4분기에는 각각 -3, -6으로 떨어졌다.
대출태도지수가 마이너스(-)이면 금리나 만기연장 조건 등의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회사가 완화하겠다는 회사보다 많다는 뜻이다.
반면 저축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지난해 4분기 0으로 떨어졌지만 지난해 내내 플러스를 유지했고 올해 1분기에도 6으로 다시 반등한 상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