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60509/B20160509104227260.jpg)
서울시가 `도시환경정비 기본계획`을 역사문화적 가치는 보전하고 낙후된 지역은 정비를 확대·강화하는 방향으로 바꿨습니다. 이번 기본계획의 핵심은 도시환경 정비예정구역을 재정비하는 것으로 한양도성 내 도심지는 역사문화중심지 보전을 위해 재개발 예정구역 약 110만㎡를 해제합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3도심, 7광역중심 내 상업·준공업지역 도시정비의 기본이 될 법정계획인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이 지난 4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이번 기본계획은 서울시가 이미 수립한 `2030 서울플랜`, `역사도시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의 실행수단입니다.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을 과거 전면 철거 위주에서 `보전`과 `개발`, 투트랙 체제로 전환해 지역별로 차별화된 정비 전략을 활용하겠다는 목표입니다.
과거 한양도성 내 도심지는 역사문화적 가치 보전을 위해 110만㎡ 재개발 예정구역을 해제합니다. 이 곳은 익선동·낙원동과 인의동·효제동 일대, 종로5가 일대, 주교동·오장동·충무로5가, DDP 일대 등 입니다. 해제지역은 역사·문화적 특성을 고려해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할 예정입니다.
도심지역 내 신축 건물은 내사산 경관을 가로막고 인근 건축물과의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해 ‘역사도심기본계획’을 반영해 최고 높이가 내사산 높이(90m)를 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지역 특성을 살리는 맞춤형 정비가 가능하도록 한 정비구역 내에서 철거, 보전 등 여러 정비방식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혼합형 정비방식`을 도입합니다.
영등포·여의도는 정비사업 예정구역을 확대 적용해 국제금융 중심기능을 강화하고, 가산·대림과 성수 지역은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과 연계해 창조적 지식기반 산업 집적지 육성을 가속화합니다.
한편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준공업지역 등 낙후된 지역은 정비예정구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영등포 대선제분공장 일대(7ha)와 용산 남영동 업무지구, 삼각맨션부지(4ha), 서대문 충현동 일대(1ha)가 해당 지역입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기본계획을 통해 보존할 곳은 확실히 보존하고 개발이 꼭 필요한 곳은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도시 서울의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