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최근 정부의 조선업 구조조정 발표에 따른 대량실업 등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기업 경영상 어려움을 덜기 위해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60509/B20160509160442830.jpg)
우선 조선업 위기가 극복될 때까지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도, 시·군, 기업 지원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조선업 위기극복을 위한 지원대책단`을 운영한다.
대책단은 조선해양산업 동향과 지역경제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소관 업무별 지원과제 발굴과 기업 건의사항 해결방안을 점검한다.
조선업 위기 지원대책으로는 단기대책 12개와 중장기대책 4개를 정했다.
특히 조선업체의 수주 지원 차원에서 해외마케팅 지원과 더불어 무역사절단과 해외 바이어 초청을 확대하고 지역 내 연안여객선과 관공선 발주 시 도내 조선소가 우선 수주하도록 도울 계획이다.
금융·세제 지원방안도 마련했다.
긴급 경영안정자금 245억원을 추가하고 업체당 지원 한도도 4억원에서 7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차보전도 기존 1.5%에서 2%로 상향하며 부채비율에 상관없이 지원한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60509/B20160509160537990.jpg)
고용안정을 위해서는 실직자 재취업 교육과 맞춤형 취업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취업 알선 박람회 개최 등을 추진한다.
조선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해양플랜트기자재 해외 발주처 벤더등록과 해양조선산업 대형·중소기업 동반성장 지원, 내년부터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 성능시험 인증비용 30%를 지원한다.
중장기 대책으로는 거제에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 조기 건립, 하동 해양플랜산업 연구단지 조기 조성, 하동 국제 해양플랜트 대학원 대학교 유치, 조선·해양플랜트 유망품목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최만림 도 미래산업본부장은 "이번 조선해양산업 위기는 세계 경기침체와 유가 하락으로 말미암은 순환적 경기변동에 따른 위기이기 때문에 기업 노사와 지자체, 지역주민 등이 힘을 합치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며 "도는 모든 방안을 마련해 조선업 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