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유통·중소기업계에 따르면 환경부가 전날 한국 피앤지(P&G)의 페브리즈 성분을 공개하며 인체 위해 가능성이 별로 없다며 선을 그었지만 소비자 불안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60518/B20160518103419220.jpg)
섬유탈취제와 섬유유연제·방향제 등에는 대부분 살균·보존제 성분이 들어있지만 광택제나 접착제와 함께 공산품으로 분류돼 있어 소비자가 성분을 따져보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향수나 미용물티슈 등은 화장품에 속해 용량에 관계없이 전 성분을 표시하도록 한 것과 대조적이다.
살균·보존제 성분이 피부 접촉이나 흡입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인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정부가 정확한 입장을 밝히지 못하는 것 또한 소비자 불안을 키우고 있다.
특히 이런 논란은 불과 몇년 전 물티슈 업계에서 벌어졌던 보존제 논란과 흡사하다.
유아용 물티슈 제조업체 관계자는 "MIT 성분을 빼고 정부가 허가한 다른 보존제 성분을 넣었는데 이마저도 좋지 않다는 이야기가 돌까 봐 걱정"이라며 "수분이 있는 제품에 보존제를 안 넣을 수는 없기 때문에 정부가 함유량을 제대로 감독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른 유아용 물티슈 제조업체 관계자도 "1세대 방부제가 파라벤, 2세대 방부제가 페녹시에탄올이라면 그보다 더 순화된 방부제가 CMIT/MIT인데 아직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는 일본과 달리 국내에서는 CMIT/MIT도 쓸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유통기한을 늘리려고 이런 성분을 과하게 쓰는 것이 문제이지, 물티슈에 미량의 보존제를 넣었다고 `물티슈=독성 물질`이라고 볼 수는 없다"며 "소비자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것은 정부가 신뢰받는 관리감독 체계를 만들고 여기서 벗어나는 제품을 제대로 단속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