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크스바겐 소송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바른의 하종선 변호사는 청원서에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배기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하는 임의설정 사실도 인정하지 않았고 3차례나 전혀 내용이 없이 매우 부실한 리콜 방안만을 제출했다"며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문제 된 차량에 대해 리콜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하 변호사는 "아우디폭스바겐으로 하여금 새로운 리콜 절차를 실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정당화할 수 없는 시간의 낭비이며 불법 오염물질 배출을 방치하는 것"이라며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즉시 자동차교체명령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기환경보전법 50조 7항에 따르면 정부는 배출허용기준 검사에 불합격한 차량에 대해 교체명령을 내릴 수 있다.
하 변호사는 "대기환경보전법의 `자동차의 교체`에는 자동차의 물리적 교체뿐만 아니라 금전대가적인 교체인 환불도 포함돼 있다"며 "적정한 교체 차량을 지정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자동차 환불명령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 연방환경청과 캘리포니아주 환경처가 미국에서 판매된 2009~2013년형 아우디폭스바겐 차량은 리콜을 해도 (배출가스) 법규를 준수할 수 없다고 판단해 이들 차량을 환불하라고 요구한 선례가 있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