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60613/B20160613073221503.jpg)
세월호 뱃머리 들기 작업이 시작됐다.
세월호 뱃머리 들기는 세월호 침몰 2년3개월여만인 12일 오후 처음으로 시작됐다. 세월호 뱃머리 들기 작업은 해저에서 누인 몸을 떼는 선수(뱃머리) 들기 작업으로 인양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공정이다.
뱃머리 들기 작업에 성공하면 세월호 인양의 80%가 성공한 셈이다.
이날 새벽 낚싯배에 오른 세월호 유족과 미수습자가족,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관계자들은 중국 측 인양작업 도움선 센치하오호에 오르거나 낚싯배를 빌려 사고해역에서 과정을 지켜봤다.
중국 인양업체는 상하이셀비지 바지의 메인 크레인을 침몰한 세월호 선수 쪽으로 배치하고 수많은 강철 줄을 꼬아 만든 와이어를 바닷 속 침몰한 세월호 선수에 묶었다.
선수들기는 1박 2일동안 아주 느린 속도로 조심스럽게 진행된다.
선수를 5도, 10m가량 들어 올리는 작업을 위해 필요 작업선 외 1㎞ 밖으로 물린 채 오후 들어 선수들기 작업을 시작했다.
특조위 관계자는 "크레인이 달린 바지가 수면 아래로 미세하게 가라앉는 등 작업을 개시하는 듯한 모습이 관찰됐다"고 말했다.
1박2일 동안 선수를 들어 올리면 그 상태를 유지한 채 18개 리프트빔 조립체를 세월호 선수 아래로 밀어 넣는 작업이 진행된다.
6월 말쯤 세월호 선체 후미에 8개 리프트빔을 밀어 넣는 작업까지 성공적으로 끝나면 선체를 온전히 플로팅독에 올려 목포신항으로 옮기는 인양이 7월 말쯤 가능하다고 해수부는 밝혔다.
특조위 진상규명소위원회 권영빈 위원장은 "현재까지 해수부와 상하이 샐비지는 선수들기에 성공하면 7월 말 세월호 인양이 가능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며 "인양업체가 역량을 보충해 작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