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저금리와 부실기업 구조조정이란 이중고로 은행들의 수익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그나마 분양시장 활성화로 주택담보대출이 늘고 있다는 점이 위안이지만, 구멍난 이익을 메꾸기엔 역부족입니다.
조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각 은행들의 충당금 셈법이 복잡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제껏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대출채권을 충당금 적립이 필요없는 `정상`으로 분류했던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이 잇달아 `요주의`로 한단계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지난 1분기 은행권 중 대우조선에 대한 충당금을 쌓은 곳은 KB국민은행 한 곳뿐.
정부의 구조조정 지침과 조선사들의 자구계획이 확정되면서, 신한은행과 KEB하나은행이 `요주의`로 재분류와 각각 최대 500억원, 1700억원 수준의 충당금을 확보할 전망입니다.
또 STX조선도 법정관리로 가면서 산은과 수은, NH농협은행을 중심으로 약 1조7천억원의 추가 충당금 적립이 예상됩니다.
여기에 한진해운이나 한진중공업 등 한진계열사 여신 역시 `요주의`에서 `고정`으로 하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어 2분기에만 은행권의 추가 충당금은 2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정부의 구조조정 추진계획이 발표된 직후 시중은행장을 긴급히 소집, 부실채권의 신속한 정리를 강조하기도 해 은행권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은행권 예대마진 축소는 하반기에 반영돼 전 은행권 이자이익까지 적어도 1천억원 넘게 감소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인터뷰> 한정태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문제는 금리 인하가 여기서 마무리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내려가는 추세라는 것이다. 지금 은행들은 (실적을 메꾸기 위해) 쌍용양회처럼 매각할 수 있는 것은 무조건 팔고 있다."
최근 은행들은 주식과 부동산 등 보유자산 매각뿐 아니라, 수수료 인상, 신규채용 대폭 축소 등 수익을 낼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올초 시행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강화 대상에서 집단대출이 제외되면서, 주택담보대출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다섯배 이상 늘어나는 등 은행권의 주요 수입원이 되주고 있다는 점입니다.
은행권의 가계 대출은 사상 최대치인 가운데, 가계 대출 연체율은 줄고 기업 중에서도 대기업 연체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오르면서, 일각에서는 "은행들이 기업대출로 본 손실을 사실상 가계에서 부담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