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과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 당시 설정된 `부채비율 200%`라는 기준이 해운업계의 발목을 잡았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
<연합뉴스 DB>
1998년 3월 당시 은행감독원은 구조조정의 하나로 국내 대기업에 400% 수준이던 부채비율을 1999년 말까지 200% 이하로 낮추라고 요구,당시 해운사들은 선박 신규 구매는 엄두도 내지 못했고 보유하고 있던 110여척의 배를 팔아야 했고 워낙 급하게 팔다 보니 헐값 매각 논란까지 나왔다고 한다.
이후 중국발 물동량 급증으로 2000년대 초반 갑작스럽게 시장 호황기가 찾아왔음에도 선박을 대거 팔아버린 해운사들은 영업 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결국 고가의 비용을 들여 배를 빌려 쓸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중국이나 일본의 국적 해운사들이 정부 지원금을 받아가면서 배를 사들인 것과 정반대 상황이었다.
결국 호황기임에도 국내 해운사는 경쟁사들보다 큰돈을 벌어들이지 못했고, 이어 물동량 감소에 따른 공급 과잉과 시장 불황이 닥치게 되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호황기에 맺은 장기 용선 계약에 묶인 선박이 많아 매년 거액의 용선료를 내야 하는 처지가 되면서 지금의 위기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해운업계는 이런 최악의 상황이 똑같이 반복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구조조정 과정에서 부채비율을 낮추기 위해 해외 터미널은 물론 컨테이너까지 다 팔아버리는 상황에서 2∼3년 뒤 호황기가 올 경우 돈을 벌 수 있는 구조가 안 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해운사의 한 관계자는 "2000년 초반에는 글로벌 대형 선사인 머스크와 한진해운·현대상선의 규모가 5배 정도 차이였지만 지금은 더 크게 벌어졌다"며 "정부가 해운업 자체에 무심해 국적 선사가 성장하기가 어려운 구조를 만든 것은 아닌지 아쉬움이 크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정확한 진단과 발 빠른 지원으로 경쟁력을 회복 중인 외국 사례를 참고, 해운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연한 정책을 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