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부동자금은 만기가 짧거나 인출이 가능해 언제라도 다른 금융상품이나 투자처로 이동할 수 있는 자금이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60718/B20160718084408237.jpg)
18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현재 단기 부동자금은 958조9천937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5조1천398억원 늘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작년 5월 866조3천억원과 비교하면 1년 새 약 93조원이나 증가했다.
단기 부동자금은 2008년 말 539조3천억원에서 이듬해 646조9천억원으로 급증했고 2013년 말 712조9천억원, 2014년 말 794조8천억원 등으로 전반적인 증가세를 보여왔다.
저금리가 장기화 되면서 마땅한 투자대상을 찾지 못한 시중 자금이 단기 금융상품에만 몰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은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통해 시중에 자금을 확대 공급해도 기업 등 실물부문으로 흘러들어 가기보다 대기성 자금으로 정체돼 있는 것이다.
시중에 풀린 자금이 얼마나 잘 도는지를 보여주는 통화 승수는 5월 17.0배로 작년 5월 18.5배보다 급격히 떨어지면서 역대 최저 수준이다.
때문에 시중에 자금이 풀려도 기업의 생산, 투자와 가계의 소비가 늘지 않는 이른바 `유동성 함정`에 대한 우려와 함께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정책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