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공동 파업에 나선 조선과 자동차 부문에 이어 금융·공공부문 역시 파업 체재에 돌입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채권단이 노조의 파업 철회를 포함해 부실기업 오너 일가와 그룹 차원의 유동성 확보에 고삐를 조여 보지만 좀처럼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 시가 급한 구조조정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23년만에 연대 파업에 돌입한 현대중공업과 현대차 노조에 이어 여타 조선사들이 대열에 속속 동참하고 있는 가운데 은행권, 공공부문도 파업 수순을 예고했습니다.
아직 부문 파업·집회, 파업 예고 등에 그치고 있지만 선박과 플랜트, 자동차를 생산하는 야드와 도크, 라인 가동이 일부 중단되며 어떤 형태로 든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사측의 성과연봉제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간 은행권과 이미 성과제가 도입된 공공부문 또한 9월 23일 총파업 수순에 돌입하겠다고 선언하며 파업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치고 있습니다.
구조조정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모색하겠다던 정부와 채권단, 재계는 대기업과 조선업, 금융권, 공공부문의 일련의 행보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인터뷰> 정부 관계자
“배가 가다가 가라앉는 상황에서 짐 같은 것은 물로 던지고 가야되는 데 그래도 가겠다면 전체가 다 침몰하는 상황이 될 수 밖에 없는 것 아닌가”
정부와 채권단은 부족 자금 마련이 시급하지만 정부와 채권단만 바라보고 있는 조선과 해운사의 경우 자구적인 유동성 마련에 속도를 내줄 것을 재차 주문하고 있습니다.
부실관리, 낙하산 CEO 등 원죄를 짊어진 정부와 채권단이 노조의 파업 행보, 부실기업 유동성 확보에 본격적인 고삐 조이기에 나섰다는 분석입니다.
한 시가 급한 상황에서 파업카드를 내민 노조에는 ‘지원 불가‘를, 자금 확보에 미진한 한진해운과 삼성중공업의 오너, 해당 그룹에 ’사재 출연‘ ’그룹 차원의 자금 확충‘을 거듭 촉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채권단 관계자
“신규 자금 지원했다가 어떻게 될 지 뻔한 데 지원은 불가능하다. 지금 단계에서 그분들 (사재출연) 속상한 부분 있겠지만 이것은 대승적인 차원에서 결단을 해야 한다”
정부와 채권단,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산업 경쟁력 회복을 모색해도 부족한 시기지만 상황은 반대로 치닫고 있어 향후 가시밭길인 우리경제에 부담이 될 공산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부실 관리, 때를 놓친 정부와 채권단은 물론, 현 시점에서 고용·임금을 현상 유지하는 것이 무리인 상황임에도 파업카드를 택한 노조 모두에 세간의 시선이 마냥 고울 수 없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큰 틀 하에서의 산업정책 청사진과 비전 제시, 구조조정의 공정성과 구성원에 대한 동기 부여, 노조의 고통분담 동참이 합의로 귀결되지 않을 경우 또 다른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는 점을 되짚어 봐야 할 시점입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