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왁스 원료’ 기름치, "비싼 돈 주고 먹었다니" 누리꾼 분노…구별법은?

입력 2016-09-07 14:51   수정 2016-09-07 14:55



왁스나 세제의 원료인 ‘기름치’가 메로구이로 둔갑해 전국의 음식점에서 팔려나갔다는 소식에 소비자들의 분노가 치솟고 있다.

부산경찰청 해양범죄수사대는 식품위생법위반 혐의로 정모(52)씨를 구속하고 음식점 대표 김모(59)씨 등 1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7일 밝혔다.

정씨는 2012년 3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3년 9개월간 8천800만원 상당의 기름치 뱃살 등 부산물 22t을 구이용으로 가공해 국내 도·소매업체와 음식점에 유통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음식점 대표 김씨는 불법으로 가공된 기름치 부산물을 메로구이로 속여 손님들에게 판 혐의다.

기름치는 농어목 갈치꼬리과(Gempylidae)에 속하는 심해 어종으로 뱃살 등에 인체에서 소화되지 않는 기름성분(wax ester)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 성분은 인체의 장에 남아 있다가 섭취 후 30분∼36시간 안에 일부 민감한 사람에게 복통이나 설사, 불쾌감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어지러움, 구토, 두통 등의 증상도 유발한다.

기름치는 ㎏당 가격이 3000원 정도지만 메로는 ㎏당 가격이 2만원에 가깝다. 구워서 양념을 곁들이면 육안으로 식별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여서 속여 파는 일이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11년 방송된 MBC ‘불만제로’에서는 서울 시내 참치전문점 20군데 중 무려 6종이 ‘기름치’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안긴 바 있다. 기름치가 참치나 메로로 둔갑되는 현장은 포장마치는 물론, 최고급 일식집에서도 포착됐다.

일본은 이미 1970년부터 기름치 수입과 판매를 금지했고, 미국 FDA는 캘리포니아에서 8건의 식중독 사례가 발생하자 2001년에 수입과 판매금지를 권고했다.

한 전문가는 “참치는 하얀 살 중간중간 붉은빛이 나고, 기름치는 그냥 하얗다”며 “하지만 육안으로 구분하기가 어렵고, 맛 차이도 미각이 예민하지 않으면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