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부터 해외 결제 수수료를 포함한 각종 해외 분담금과 각종 데이터프로세싱 수수료를 올리겠다고 통보했습니다.
일방적인 `통보`를 받은 카드사들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특히 해외 결제 수수료율을 1.0%에서 1.1%로 올리면 해외에서 카드를 사용하는 소비자 부담도 커진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습니다.
국내 8개 카드사는 미국 비자카드 본사를 항의 방문 했고, 공정거래위원회에 비자카드를 제소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시민단체도 비자카드 수수료 인상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어 힘을 보탰습니다.
하지만 비자의 방침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카드사가 부담하는 서비스수수료와 데이터프로세싱 수수료는 10월부터 인상됐고, 소비자가 부담하는 해외 결제 수수료 역시 올랐습니다.
다만 12월까지 발생하는 해외 이용 수수료 인상분에 대해서는 일단 카드사가 부담하고 비자로부터 소급받기로 했기 때문에 소비자는 1월부터 인
상된 수수료율을 적용받게 됩니다.
소비자들로부터 수수료를 더 받으려면 카드사들은 적어도 1개월 전에 수수료 인상에 대한 내용을 고객에게 공지해야 합니다.
이메일과 홈페이지 등 가능한 방법을 통해 인상 내용을 알려야 하는 겁니다.
하지만 카드사들은 고객들에게 수수료 인상 공지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의 수수료 인상 관련 약관 변경 승인을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카드사가 수수료 인상 사실을 고객에게 공지하려면 금감원으로부터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그 과정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결국 카드사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수수료 인상분을 직접 부담하기로 했습니다.
카드사들은 가뜩이나 시장 상황이 안좋은데 당국의 늑장 심사로 소비자 몫까지 떠안게 됐다며 볼멘소리를 하고 있습니다.
여론을 의식한 카드사가 심사까지 늦춰가며 수수료 인상 부담을 카드사에 떠넘겼다는 겁니다.
이런 카드사의 반응에 대해 금감원은 억울하다는 태도입니다. 카드사들이야말로 금감원을 끌어들여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각 카드사마다 비자 브랜드 발급 비중이 다르고 고객 수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인 잣대로 심사할 수 없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입니다.
실제로 카드사의 예상 피해 금액을 파악해야 하는데 카드사가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심사에 애를 먹고 있는 건 오히려 금감원이라는 겁니다.
아울러 금감원은 카드사가 수수료 인상분을 내더라도 실제로 입는 피해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약관 심사조차 요청하지 않은 카드사도 있을 만큼 수수료 인상을 바라보는 카드사 간 온도 차는 큽니다.
그동안 카드사들은 한목소리로 비자의 일방적인 수수료 인상을 반대해왔습니다.
카드사가 해외 결제 수수료 인상분을 부담하게 됐다는 보도(카드사 `울며 겨자 먹기 해외결제수수료 부담, 10.26 한국경제TV)에 대해서도 절대 아니라며 손사래 쳤습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수수료 인상 시기가 다가오면서 카드사들의 셈법은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카드사가 소비자들로부터 수수료 인상분을 더 받을 수 있도록 금융당국이 하루빨리 허락해 달라고 요청하는가 하면, 비자와 개별적인 추가 협상을 벌이는 카드사도 있습니다.
비자와 국내 카드사 간 계약이 공정하지 않다며 거세게 항의하던 이전 모습과는 사뭇 다릅니다.
그동안 공룡 비자의 갑질에 맞선 카드사의 행보에 힘을 보탰던 소비자의 입맛이 씁쓸한 이유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