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도라>는 역대 최대 규모의 강진에 이어 한반도를 위협하는 원전사고까지 예고 없이 찾아온 대한민국 초유의 재난 속에서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한 국민들의 사투를 그린 작품이다.
정진영은 영화 `판도라`에서 재난 현장 속 누구보다 투철한 희생정신과 책임감을 지닌 발전소장 평섭 역할을 맡았다. 노후화된 원전에 대한 내용을 청와대에 보고했다는 빌미로 좌천되지만, 원전 폭발 사고가 발생하자 누구보다 먼저 현장에 달려와 구조작업을 주도하는 인물이다. 현 시국과 맞닿아 이 시대에 꼭 필요한 리더를 연기한 정진영은 관객의 눈물샘을 자극한다. 영화 개봉 후 서울 종로구 소격동의 한 카페에서 정진영을 만났다.
Q. 영화 소재가 정치적으로 민감한 소재다보니 투자도 쉽지 않았을 텐데 영화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들어 출연을 결심하게 됐나?
A. 기질적으로 사회성 있는 영화를 좋아한다. <판도라>가 주는 울림이 사회에 크게 다가갈 것이라 생각했고, 굉장히 의미 있는 영화로 자리매김할 것을 확신했다. <판도라>의 시나리오를 가장 처음 받아봤는데, 퀵 서비스로 배달 온 시나리오를 보자마자 곧장 ‘합시다’라고 말했다.
Q. 영화는 지진과 원전에 대한 영화다. 평소 원전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었나?
A. 1980년대에 대학을 다녔는데 당시 원전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이후 지금은 고등학교 졸업반이지만 초등학생일 때 아들의 꿈이 원자핵 물리학자여서 다시 원전에 대해 알아보게 됐다. 다시 보니 문제점이 많더라. 이를테면 원전에서 나오는 핵폐기물에서 방사능이 다 빠지는 기간이 20만 년인데 그걸 지구상에서 격납할 시설이 안전하지 않은 임시시설이다. 핀란드에서 만든다고 하지만 경비가 만만치 않다고 한다. 지금 유럽은 탈핵사회로 가고 있다. 우리 영화를 보고 우리 사회도 진지하게 얘기하고 노후 원전에 대한 사고를 점검해봐야 한다. 원전에 대해 국민들이 워낙 모르고 정보도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수면 위에서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Q. 영화를 위해 공부도 많이 했나.
A. 촬영을 위해 우리나라 원전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 공부를 했다. 우리 영화가 다큐멘터리는 아니지만 기본적인 취지에는 동의해야 했다. 극 중 발전소 식구들, 마을 사람들, 청와대 세 팀이 있는데 발전소 식구들에게는 팸플릿을 줘서 공부를 하게 했다. 개인적으로는 예전에 본 책도 있고 일본 후쿠시마 사태를 다룬 르포도 봤다. 원전에 대한 물리학 이론은 알지 못하지만 사회적 의미와 실태 정도는 알고 있다.
Q. 극 중에서 연기한 평섭은 다른 인물에 비해 단편적인 성격의 캐릭터로 보인다. 이 점이 아쉽지는 않았나?
A. 내가 맡은 평섭은 내부고발자다. 우리 사회에서 내부고발자 덕분에 비리가 폭로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지 않나? 지금 사회에선 평섭처럼 이름도 없고, 권력도 없고, 지위도 없는 개인이 자신을 헌신해 사회를 지키는 경우가 참 많다. 평섭은 원전을 너무 사랑한 사람이다. 원전을 애인 삼고 살았는데, 애인이 악마가 되는 걸 바라보느니 차라리 그 악마를 없애야 했던 것이다. 내 캐릭터가 단조롭다고 서운하진 않다. 작품의 호흡을 위해서라면 감수해야 할 일이다.
Q. 평소 연기에 대한 고민도 하는지?
A. 내 꿈은 원래 영화 연출이었다. 꿈대로 연극하고 영화하며 살고 있는 중이다. 이 길이 내게 맞는 것 같다. 연기자로서 나이를 먹으면 가장 경계해야 할 것 중 하나가 자신에게 편한 사고방식만 고집하는 거다. 새로운 게 낯설어지는 나이가 됐는데 배우가 그러기 시작하면 연기적으로 매너리즘이 생기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배우로서의 특별한 지향점은 없지만 익숙함을 경계하면서 많은 사람을 포용하고 깊은 감정을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싶다는 게 지금의 소망이다. 다만 나는 예술가로 살고 싶었는데 과연 지금 예술가로 살고 있는가는 의문이다. 그건 내가 고민해야 할 인생의 과제로 치열하게 고민 중이다.
Q. 끝으로 정진영에게 <판도라>는 어떤 의미인가?
A. 내 인생 영화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20년 동안 연기하면서 다양한 영화를 했는데 이렇게 큰 울림은 처음이다. 배우로서 고민할 필요가 없는 작품이었다.
(사진=NEW 제공)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