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70102/B20170102192214890.jpg)
`비선 실세` 최순실(61·구속기소)씨 딸 정유라(21) 씨의 성적 특혜 논란이 일자 이 사안에 연루된 이화여대 교수들이 교육부 감사에 대응해 `말 맞추기`를 시도한 정황이 포착됐다.
정 씨의 입학과 학사 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이런 정황을 파악하고 관련자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2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이대 김경숙 전 신산업융합대학장은 정 씨에 대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교육부가 특별감사를 시작하자 류철균(52·필명 이인화)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에게 전화를 걸었다.
김 전 학장은 류 교수에게 "나는 감사에서 `체육 특기자를 잘 봐주라고 한 것 뿐`이라는 진술을 했다"고 말했다.
막연하게 잘 봐주라는 부탁을 한 것일 뿐 성적에 관한 구체적인 지시를 하지는 않았는데도, 세간에선 마치 교수들이 학점 특혜를 준 것으로 여겨진다는 자신의 주장을 류 교수에게 귀띔한 것이다.
이에 류 교수 역시 감사 때 같은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학장은 지난달 국회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특위 청문회에서도 `학점 특혜` 의혹에 대해 "교수 개인의 권한"이라고만 답했다. 류 교수가 독자적으로 판단해 결정한 것이며 정당한 권한 범위를 벗어난 위법 행위가 없었다는 취지로 읽힌다.
그러나 류 교수 측에 따르면 김 전 학장은 류 교수에게 정 씨를 지목해 잘 봐주라고 부탁했다.
김 전 학장이 3번이나 요청해 작년 4월 교수실에서 최 씨와 정 씨를 1분간 만나기도 했다.
당시 김 전 학장은 `정윤회 씨 딸이 학교에 들어왔는데 사람들이 이를 이유로 정 씨를 왕따시켜 우울증에 걸렸다. 이게 학교에서 생긴 일인데 도와줘야 할 거 아니냐`고 말했다는 게 류 교수 측 주장이다.
류 교수는 자신의 혐의와 관련한 각종 행위 자체는 있었다고 인정하면서도 개인적 이득이나 반대급부를 취하려거나 이를 기대해 불법행위를 했던 게 아니라는 식으로 이날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서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학장의 `무시하기 어려운 부탁`을 들어줄 수밖에 없는 처지였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류 교수는 지시를 내린 사람은 김 전 학장 한 명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김 전 학장이 교육부 감사 때 자신이 한 진술과 비슷한 답변을 유도하기 위해 류 교수에게 연락했으며 이는 결국 `말 맞추기` 시도라고 보고 있다.
특검은 조만간 김 전 학장도 소환해 관련 사실관계를 캐묻고 윗선의 존재와 자세한 경위 등을 추궁할 계획이다.
김 전 학장은 교육부 감사 결과 관련 비위 의혹이 드러나면서 남궁곤 전 입학처장 등과 함께 검찰에 고발됐다.
한편 류 교수는 이날 영장심사에서 "소설가로서 교수로서 모든 걸 잃게 됐는데, 참담하게 생각하고 반성한다. 응분의 대가를 받겠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