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계란·라면·맥주 등의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이고 있지만, 치약과 피로회복제 등의 가격은 오히려 떨어져 눈길을 끈다.
5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구강청정제인 레귤러의 소비자 평균 가격은 1천622원으로 같은 해 6월 말 2천936원보다 44.8%나 떨어졌다. 다른 구강청정제인 리스테린 쿨민트의 가격도 6개월간 3.2% 정도 낮아졌다.
치약제품도 전반적으로 가격이 내려갔다. `페리오 캐비티케어`는 같은 기간에 7천837원에서 6천728원으로 14.1% 하락했다.
유통업계에서는 지난해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고` 이슈 여파로 전반적으로 `화학생활용품 공포`가 커진데다, 특히 치약의 경우 일부 제품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까지 검출되면서 수요가 급감하자 유통업체들이 불가피하게 가격을 낮췄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피로회복제의 대명사 박카스F 박스(10병) 가격도 같은 기간 8천549원에서 6천325원으로 26% 낮아졌고, 영진구론산G 상자(10병)도 4천533원에서 2천339원으로 48.4% 싸졌다.
모피도 최근 가격이 뒷걸음질한 대표적 품목이다. 국내 한 백화점에 따르면 모피 가격은 지난해 6월부터 국제 원피 가격 하락을 반영, 10~15% 인하됐다.
공급 과잉에 따른 원유(原乳) 가격 인하에 따라 지난해 9월 이후로는 우유 가격도 소폭 떨어졌다.
A 편의점에 따르면 서울우유 흰 우유(1ℓ) 가격은 2천650원에서 지난해 10월 2천600원으로 1.9% 싸졌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