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주에는 임플란트 업계의 진흙탕 싸움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는데, 오늘은 보툴리눔 톡신 업계에 대해서 준비하셨네요.
최근에 국내 보툴리눔 톡신(일명 보톡스) 업계의 1위 기업이죠. 메디톡스가 광고로 인해 정부로부터 과징금과 판매 정지 처분을 받았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가요?
<네>
네 경쟁사인 휴젤을 상대로 보톡스의 균주 출처를 공개하라며 광고를 내보냈던 메디톡스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억3천만원의 과징금과 판매정지 처분을 내렸습니다.
우선 주력 제품인 '메디톡신' 제품 등 5종에 대해서는 과징금을, 차세대 제품인 코어톡스에 대해서는 4월 13일까지 한 달 동안 판매정지를 내린 겁니다.
하지만 코어톡스 아직 시장에 출시되지 않은 제품이기 때문에 판매정지에 대한 실직적인 효력은 없다는 것이 메디톡스 측의 설명입니다.
메디톡스는 이번 처분이 부당하다며 처분을 취소하는 행정소송을 계획 중입니다.
<앵커>
균주의 출처를 놓고 지난해 10월부터 메디톡스와 휴젤의 논란이 시작됐죠. 간단히 짚어주시죠.
<기자>
압축해서 좀 말씀드릴게요. 결국 그동안 각 회사의 이야기를 종합해 보면, 국내 보톡스 업계의 원조격인 메디톡스는 자사 제품의 원재료, 즉 균주를 미국에서 들여왔고, 이후 휴젤과 대웅제약 등 후발주자들이 자신들의 균주를 함부로 도용해 이름만 바꾼 제품을 만들어냈다는 겁니다.
이에 대해서 휴젤과 대웅제약은 각각 마구간과 썩은 통조림에서 이 균주을 자체적으로 발견했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그러자 메디톡스는 "보툴리눔 톡신은 맹독인 만큼 통조림과 마구간에서 발견할 수 없고, 실제로 그렇게 발견을 했다면 누가·어떤 경위로 발견했는지 밝혀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끊임없이 염기서열 공개를 촉구해 왔고, 휴젤과 대웅제약은 "반박할 가치가 없다"며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메디톡스가 균주 출처를 밝히라는 광고까지 하자, 정부가 나서서 제재를 한 것이죠.
<앵커>
업계에서는 이번 처분에 대해 메디톡스가 그동안 식약처에 미운털이 단단히 박혔다라는 해석도 있습니다.
<기자>
균주를 관리하는 건 질병관리본부의 권한이지만 제품의 허가는 식약처에서 내립니다.
식약처는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까지 문제가 확대돼 책임이 돌아올 것 같으니, 지난해 11월에 각 회사들을 불러 원만한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식약처 입장에서는 메디톡스가 계속 문제를 제기하면 허가 기관인 본인들도 곤란해질 수밖에 없죠.
그런데 여기에 메디톡스가 TV광고까지 단행한 겁니다.
그리고 올해 2월에 식약처는 논란이 된 휴젤과 대웅제약에 대한 허가 심사결과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문제 없다'며 슬쩍 논란에서 발을 뺏습니다.
그런데 사실 식약처가 공개한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자료는 균주 출처와는 무관한 겁니다. 업체들은 균주의 근원에 대해서 다투고 있는데 그 제품이 안전하다는 발표는 관련이 없죠.
<앵커>
논란이 장기화 되면서 기업들의 주가도 영향이 있었죠?
<기자>
네 맞습니다.
지난해 10월부터 각 기업의 주가 추이를 보겠습니다. 물론 지난해에는 한미약품 사태로 제약·바이오주 전반이 타격을 입은 것은 맞지만, 거기에 균주 논란까지 겹치면서 보툴리눔 톡신 업계에서는 등락률이 더 컸습니다.
지난해 10월 초와 논란이 격화됐던 작년 말을 보면 주가가 굉장히 많이 빠진 것을 볼 수 있죠.
최근들어 어느 정도 회복되긴 했지만, 아직 원래 수준까지는 돌아가지 못한 상황입니다.
메디톡스는 우선 2020년까지 액상 보툴리눔 톡신인 이노톡스를 미국과 중국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임상시험에 몰두하고 있고, 주력제품인 메디톡신은 2019년에 중국 시장에 런칭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올해 7월 광교에 완공한 종합 R&D 센터로 전국에 분포돼 있는 메디톡스 연구 인력들을 모읍니다.
그동안 물량 공급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던 것들에 대한 대응으로 본격적인 3공장 가동도 하고 있습니다.
휴젤도 현재 미국에서 진행중인 임상 3상을 진척시켜야 하고, 기존 대주주인 홍상범 서울리거 원장과의 경영권 분쟁을 해결하는 것도 굉장히 시급한 문제입니다.
대웅제약은 나보타에 대한 FDA 허가 신청을 올해 상반기에는 진행시킨다는 계획입니다.
바이오업계에서는 메디톡스가 이미 균주의 기원과 염기서열을 공개한 것처럼, 문제가 없다면 경쟁업체들도 깔끔히 논란을 종식시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