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는 `우리 기업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KOTRA가 해외진출 한국기업 11,943개사를 분석한 결과 응답한 우리 기업의 90%가 단독투자 형태로 해외에 진출했으며, 생산 공정에 집중(완성품 39%, 부품 24%)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판매 측면에서 자동차부품 등 운송장비는 내수, 전기·전자·정밀기기는 내수/수출 병행 비중이 높고 조달 측면에서 중국·아대양주는 현지조달, 북미 및 일본은 본국조달(즉 한국에서 수입) 비중이 높았습니다.
KOTRA는 이 중 제조기업 1,475개의 경영성과를 생산성과 비용효율성의 두 가지 기준으로 분석했습니다.
시장측면에서 경영성과가 우수한 ‘고생산성-저비용’ 생산기지는 미국, 폴란드, 슬로바키아, 중국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용절감형 진출이 집중된 신흥국 생산기지인 인도, 인도네시아 등은 생산성이 낮았습니다.
업종측면에서는 ‘고생산성-저비용’ 업종은 자동차·자동차부품, 전기·전자, 기계장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기타 운송장비와 의복·잡화류, 섬유·피혁, 목재·가구 등 노동집약적 산업은 비용효율성은 높지만 생산성도 낮아 진출의 장점을 찾기 어려웠다고 KOTRA는 분석했습니다.
진출방식 측면에서 합자 또는 합작진출인 경우 비용효율성은 다소 낮지만 생산성이 높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현지조달에만 의존한 기업은 비용절감에는 성공했지만 수익성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한 반면 현지 판매비중이 높은 진출기업이 생산성도 높았습니다.
KOTRA는 이같은 현황 분석 결과 시장측면에서는 저임노동력 생산기지화 전략보다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진출을 확대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전향적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공정의 자동화가 확산되면서 인건비가 높은 선진국도 제조단계에서 비교우위를 회복할 수 있다는 겁니다.
신흥국에 진출할 경우, 생산성을 함께 고려한 업종선택이 필요하다고 KOTRA는 조언했습니다.
이와 함께 자동차·자동차부품, 전기·전자·정밀기기·부품, 기계장비 등 제조업 중에서도 생산성이 높은 분야에서 시작해 ICT 융합 신산업, 문화·서비스업 등으로 지평을 넓혀야 하며 각각의 가치사슬 단계를 세분화해 추가적인 협력가능성을 모색하는 전후방 확장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M&A 등 다양한 투자방식을 활용해 수익성이 높은 선진국 진출비중을 높이는 전략도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윤원석 KOTRA 정보통상지원본부장은 “저성장 보호주의시대 해외진출 전략은 규모보다는 수익성 중심으로 전환하는 한편, 진출국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화와 상생협력이 핵심”이라고 강조하면서, “우리 기업이 고수익 시장을 겨냥할 수 있도록 맞춤형 해외투자진출 지원, 해외M&A 등 KOTRA의 지원 역량을 결집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