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70410/B20170410102654903.jpg)
퇴행성고관절염은 골반과 다리를 연결하는 고관절 부위의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통증과 보행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질환이다.
퇴행성고관절염은 통증이 주된 증상이다. 초기에는 관절염이 생긴 부위에만 국소적인 통증이 나타나고, 고관절을 움직일 때마다 마찰음이 생기기도 한다. 차가운 곳에 있거나 날씨가 추우면 통증이 심해진다.
퇴행성고관절염 초기에는 충분히 쉬거나 소염진통제를 먹고 나면 증상이 사라지는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 질환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통증이 나타나고 보행이 힘들어진다.
이러한 퇴행성고관절염 치료 시 최근 개원가에서는 손상된 관절 부위를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인공관절치환술이 시행되고 있다.
인공관절치환술은 닳아 없어진 연골 대신 코발트크롬, 티타늄합금 등의 금속이나 세라믹으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법이다.
술식의 종류는 부위 및 원리에 따라 고굴곡 인공관절, 여성형 인공관절, 부분인공관절치환술, 3세대 맞춤형 인공관절수술 등으로 다양하게 나뉘며, 그 중 퇴행성고관절염에 주로 사용되는 술식은 3세대 맞춤형 인공관절수술이다.
3세대 맞춤형 인공관절수술은 마이크로 칩으로 만들어진 지능형 의료기기 `바이오센서`를 이용해 정확한 환자의 관절정보를 파악한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법이다. 첨단 수술보조기구인 바이오센서는 전용 센서를 내장해 환자의 체내에서 관절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및 제공한다.
해당 수술법은 하반신 마취 하에 절개를 최소화한 가운데 수술이 이뤄져 부작용 및 합병증 발생 우려를 낮출 수 있으며, 비교적 통증이 적고 회복 속도가 빠르다.
또한 무릎의 인대와 힘줄 등 연부조직의 불균형을 해결해 사용되는 인공관절의 수명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퇴행성고관절염 외에도 다양한 관절질환에 적용 가능하다.
강북연세사랑병원 최유왕 원장은 "수술에 소요되는 시간은 환자의 증상 정도, 체력 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1시간 30분 정도이다. 수술 후에는 보통 6주 정도면 통증이 거의 없이 가벼운 일상생활이 가능하고 3개월 정도 재활 훈련을 통해 가벼운 운동도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수술을 통해 삽입된 인공관절은 장기간 자주 사용하면 실제 연골과 같이 닳게 된다. 따라서 되도록 관절에 무리를 주는 행동이나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