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내 자동차 산업이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중국 판매량이 급감한 현대차의 현지 협력업체가 납품을 거부해 공장이 멈추는 사례까지 발생했고 임금 단체 협약을 둘러싼 노사 갈등은 올해 말까지 지속될 전망인데요.
여기에 통상임금은 또 다른 뇌관입니다.
임동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앵커>
올해 3월부터 본격화된 사드 보복 여파로 현대차의 상반기 중국 판매량은 반토막이 났고 지난달에도 40%의 판매 감소를 보였습니다.
장기화 된 매출 부진은 협력업체에 대한 대금 지급 지연으로 이어졌고 급기야 연료 탱크 업체의 부품 납품 거부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기에 이르렀습니다.
다행히 협력사와 협의를 통해 부품을 공급받아 공장은 다시 돌아가기 시작했지만 밀린 대금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했습니다.
문제는 대금 지급이 지연된 업체가 한 곳 만이 아니라는 겁니다.
현지에 있는 우리나라 협력사들도 대금 지연에 억지로 버티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터뷰> 부품업체 관계자
“업체들도 지금 납품대금 지연이 길게는 6개월에서 4개월 정도 전부 다 밀려있는 상태고 어떻게든 버텨나가고 있는 상황인데 언제까지 내구성으로 버틸 수 있는 문제는 아니기 때문에 많이 우려가 되고 있는 상황이죠."
현재 중국에서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우리나라 부품 업체 145곳에 해외 업체들까지 포함하면 수백 곳 이상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추가 납품 중단이 발생해 공장 가동이 또 다시 멈출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노사 갈등도 자동차 업계를 짓누릅니다.
특히 현대차의 임금·단체 협상은 장기화 될 전망입니다.
현 노조 집행부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아 새 집행부가 꾸려질 10월에야 교섭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8차례의 부분파업으로 3만8천대의 생산차질, 8천억원의 매출손실을 입은 상황인데 연말까지 이 같은 일이 반복 될 수 있습니다.
통상임금도 문제입니다.
31일 기아차 통상임금 소송 선고를 앞두고 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만약 법원이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하는 판결을 내릴 경우 실질 임금인상률이 매년 20% 이상에 달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기아차는 일단 3조 원 이상의 비용을 지급해야 하고 현대차는 물론 완성차업체, 더 나아가 제조업 전반에 걸쳐 그 피해가 가중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한우 기아자동차 사장
“자동차 산업은 특성상 야근과 잔업이 많습니다. 거기에 영향을 미쳐서 현재보다 50% 이상 (수당을) 더 줘야됩니다.”
생산은 물론 내수와 수출 모두 2년 연속 감소하며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는 자동차 업계는 이제 벼랑 끝에 섰습니다.
한국경제TV 임동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