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정상과의 회담에 상습 지각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회담에도 30여 분 늦게 모습을 나타냈다.
애초 한·러 정상회담은 이날 오후 1시(현지시간)부터 예정돼 있었다. 문 대통령은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하자마자 회담장으로 이동, 회담 시작 시각에 맞춰 극동연방대학 내 회담장에 도착했다.
그러나 회담 시간이 지나도 푸틴 대통령은 나타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이에 문 대통령은 별도의 대기 장소에서 대기하고,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송영길 북방경제협력위원장,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등 배석자들만 회담장에 남아 푸틴 대통령을 기다렸다.
푸틴 대통령의 입장이 왜 늦어지는지에 대한 러시아 측의 설명은 없었다. 그러나 한국 취재진과 함께 정상회담 취재차 대기 중이던 러시아 취재진은 별일 아니라는 듯 태평한 표정이었다.
푸틴 대통령은 결국 34분 늦은 오후 1시34분 회담장에 나타났다.
이에 맞춰 문 대통령도 회담장에 입장했고, 양국 정상은 각자 양국 배석자들과 악수하고 자리에 앉았다. 회담장 왼쪽에 문 대통령과 우리 측 배석자가 자리했고, 오른쪽에 푸틴 대통령과 러시아 측 배석자들이 착석했다.
러시아 측에서는 트루트네프 부총리, 라브로프 외교부 장관, 우샤코프 외교보좌관, 갈루쉬카 극동개발부 장관이 배석했다.
푸틴 대통령의 지각에도 이날 단독 정상회담은 비교적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푸틴 대통령이 먼저 2분 가량 환영 인사를 했고, 문 대통령은 "주빈으로 불러주시고 따뜻하게 환대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화답했다.
사실,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 `상습 지각생`으로 통한다. `34분` 지각은 오히려 양호한 수준에 속한다.
푸틴 대통령은 2014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회담에 무려 4시간이나 늦게 도착한 전력이 있다.
또 지난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는 2시간 늦었을 뿐 아니라 사람 크기만한 개를 데리고 나타나는 돌발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의 만남에도 두 차례나 지각했다. 2013년 11월 서울에서 열린 한·러 정상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은 40분가량 지각했고, 지난해 박 전 대통령과 회담에도 1시간 45분이나 늦었다.
이 같은 푸틴 대통령의 상습 지각을 두고 외교가에서는 회담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적인 판단이라는 평도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푸틴 대통령이 워낙 지각으로 악명이 높아 어느 정도는 예상하고 있었다"며 "30분 정도는 양호한 편"이라고 말했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단독·확대 정상회담과 공동언론발표 종료 후 마지막 발언으로 "이번에 한국 축구대표팀이 2018년도 월드컵 본선에 올라가게 된 것에 대해 축하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의 예상치 못한 덕담에 문 대통령은 크게 웃으며 "감사합니다"라고 말했고, 참석자들은 모두 박수를 쳤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