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정부군의 `인종청소` 논란 속에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 난민 수가 급격히 늘면서 방글라데시와 인도 등 인접국들이 대응에 고심하고 있다.
최근 10여일 사이 14만 6천여명의 로힝야족 난민이 유입된 방글라데시는 이들이 미얀마로 돌아갈 수 있도록 유엔이 나서줄 것을 희망했다고 방글라데시 BD뉴스24가 6일 전했다.
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총리는 이날 총리실을 방문한 로버트 왓킨스 유엔 방글라데시 상주조정관에게 이같은 뜻을 전달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지난달 말 국경에서 로힝야족 난민의 입국을 막을 것을 지시했지만, 사실상 입국을 묵인하고 있다.
하지만 방글라데시는 미얀마와 접경지대인 콕스바자르 등에 마련된 난민 캠프가 포화 상태인 데다 수십만에 이르는 난민을 무한정 책임질 수는 없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인도 정부는 자국에 유입한 4만여 명의 로힝야족 난민을 수용할 수 없다며 추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키렌 리지주 인도 내무부 부(副)장관은 전날 자국에 들어온 로힝야족 신원 확인 절차를 시작했다면서 적법한 체류자격이 없으면 이들을 불법 이민자로 봐 추방하겠다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로힝야족 난민이 테러단체에 쉽게 포섭될 수 있는 등 안보 위협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의 유입이 사회적·문화적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보고 있다고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는 전했다.
하지만 인도 내 인권단체들은 난민을 박해받을 우려가 있는 원래 국가로 돌려보내서는 안 된다는 `비송환 원칙`이 국제관습법으로 확립됐다면서 정부 방침에 반발하고 있다.
인도 대법원은 로힝야족 난민을 추방하지 말아 달라는 일부의 청원에 따라 11일 이에 관한 심리를 진행할 예정이다.
500,333
세계 최대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는 지난 4일 외교장관이 미얀마를 방문해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 등을 만나 미얀마 군경의 무력사용을 최소화할 것을 촉구하는 등 다른 이슬람 국가들도 이번 사태 확산을 우려하고 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전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보낸 서한에서 이번 사태가 `인도주의적 재앙`으로 비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미얀마 수치 자문역은 이번 사태가 로힝야족 무장단체의 테러에서 비롯된 것이며 정부군의 로힝야족 학살은 `가짜 뉴스`라는 태도를 보이며 국제사회의 우려를 외면했다.
타웅 툰 미얀마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번 문제가 유엔 안보리에 회부되지 않도록 중국과 러시아 등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불교국가인 미얀마의 이슬람 소수민족 로힝야족 박해문제는 로힝야족 무장단체인 `아라칸 로힝야 구원군`(ARSA)이 지난달 25일 경찰초소 30여 곳과 군기지를 습격하면서 다시 부상했다.
미얀마 정부군은 ARSA를 테러집단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소탕작전을 개시했지만, 이 과정에서 로힝야족 주민들을 상대로 학살과 성폭행, 고문이 자행되고 있다는 주장이 난민과 구호단체 등에서 강하게 제기됐다.
100만명 정도로 추산되는 미얀마 로힝야족은 미얀마가 1948년 영국으로 독립하기 전부터 미얀마 서부 라카인주에 살고 있었다.
이들의 정착 시기에 대해 일부는 영국이 식민통치 당시 이 지역 벼농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주시켰다고 보고 있으며 다른 일부는 15세기부터 이곳에 살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