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대형은행들이 앞다퉈 '생산적 금융'을 외치며 조단위의 금융 지원과 맞춤형 상품을 내놓고 있습니다.
새 정부가 요구하는 금융의 사회적 역할에 공조하는 모습인데요.
다만 일각에서는 이전 '녹색금융', '창조금융'처럼 또다시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 근본적인 시스템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조연 기자입니다.
<기자>
[자료화면] 최종구 금융위원장 (7월 19일 취임식)
"대통령께서는 취임사를 통해 "기회는 평등하게, 과정은 공정하게"..(금융 역시) 보다 생산적인 분야로 자금이 흘러가도록 해야"
정부가 화두로 들고 나온 '생산적 금융'에 은행들이 분주히 화답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 오는 2020년까지 9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적 금융 사업을 진행, 12만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내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신한금융그룹 차원의 4차산업펀드를 조성하고, 신산업 유망기업, 친환경 미래에너지 기업, 그리고 일자리 창출기업에 각각 1조원 육박하는 금융지원을 추진합니다.
앞서 우리은행도 '더 큰 금융'을 슬로건으로 내놓고, TF까지 꾸려 액션플랜을 내놓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우리은행은 창업/유망기업에 2조원의 금융지원과 4차산업혁명 관련 모태펀드 출자, 스타트업을 위한 PI 투자 등에 나설 방침입니다.
기업은행 역시 일자리 창출과 신성장 중소기업에 3조5천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약속했고, 국민은행은 성장 초기(7년 이하)인 기업에 신용대출을 2%대 저금리로 해주는 대출상품을 내놓았습니다.
이처럼 은행들이 앞다퉈 '생산적 금융' 지원안을 내놓는 데에는 금융당국에 입김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금융위는 수차례 금융지주사와 은행권 임원을 불러 모아 창업 벤처 자금지원 확대를 요청했고, 오는 11월 발표 예정인 '생산적 금융' 실행방안에도 중기·벤처 대출 확대 인센티브안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은행들이 가계대출이나 부동산 금융 등 쉬운 대출 관행에서 벗어나 기술벤처나 혁신기업 등 생산적인 부문으로 자금이 흘러갈 수 있게 한다'는 취지는 좋지만, 정부 기조에 맞춘 '보여주기식 실적 쌓기'로 끝나지 않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실제 전 정권에서 강조한 기술금융만 해도 햇수가 더해질 수록 기업의 기술력에 기반해 대출을 하겠다던 취지는 흐려지고, 담보 보증비중이 70%를 넘은 사례가 있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실물 담보 의존하는 대출관행에서 벗어나 거래옵션으로 주식을 받는 방식의 워런트 대출 같은 해외 선진 대출기법도 이제는 적극 검토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