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70927/B20170927100446597.jpg)
정부가 우리나라의 글로벌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현재 1.7%에서 2025년 5%로 끌어올리고, 바이오 신규 일자리 12만개를 창출합니다.
또 2026년까지 글로벌 신약 후보물질100개를 발굴하고, 1조원 이상 매출을 내는 국산 블록버스터 신약을 5개 이상 만들기로 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제 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습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바이오 R&D혁신, 바이오 경제 창출, 국가생태계 기반 조성 등 3대 전략 9대 중점 과제를 추진합니다.
특히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혁신적 R&D에 10년간 5천억원을 투자하고, 1조원 규모 신약 메가 펀드를 조성해 임상과 마케팅까지 지원하는 등 신약개발의 모든 과정을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와함께 제품개발부터 식약처 등 규제기관이 함께 참여해 인허가 가이드라인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규제 맵 구성·관리를 통해 바이오 규제 장벽을 상시 개선하는 체계도 구축합니다.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로 명명된 이 계획은, 바이오를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육성해 바이오경제 시대를 주도하는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수립됐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