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신한금융이 조용병 회장과 위성호 행장간 내부 갈등 조짐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기관금고 쟁탈전에서도 잇달아 고배를 들며 충격에 휩싸이는 모습입니다.
여기에 MB정권 당시 비자금 사건 재조사 가능성까지 높아지면서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고영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신한은행이 10년간 지켜온 600조원 규모의 국민연금 금고는 국민은행과 경합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우리은행의 승리로 귀결됐습니다.
지난 7월 경찰공무원 대상 참수리 대출 사업권이 국민은행으로 넘어간데 이어 세계 3대 연기금인 국민연금이라는 상징성과 규모를 감안할 때 기관영업에서의 연이은 패배는 신한에 적잖은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과 위성호 신한은행장 모두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지만 정작 두 수장 사이에는 역학구도를 둘러싼 내부 갈등 조짐마저 불거지고 있습니다.
최근 위성호 행장의 “대기업 계열 금융사가 나오면 M&A에 관심이 있다”는 발언 때문인데 금융지주내 계열인 은행장의 통상적인 역할 범주를 넘어섰다는 점에서 파장이 일고 있는 것입니다.
<인터뷰> A금융그룹 고위관계자
“그거는 월권인데. 은행장의 롤(역할)이 아닌데 회장의 롤인데. 내부적으로 파장이 크겠다. 그 생각이 들었어요.”
신한금융 내부에서 조차 위성호 행장의 이 같은 돌출 발언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른바 ‘역린’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두 현직 수장 간 힘겨루기, 내부갈등 조짐이 일고 있는 사이 라응찬 전 회장이 MB정부 당시 남산에서 정권 실세에게 3억 원을 건넸다는 일명 ‘남산 3억원’ 사건도 다시 도마위에 오르고 있는 점도 부담 요인입니다.
<인터뷰> 라응찬 / 전 신한지주 회장
(“2010년에 MB정권에 3억 원 지시한적 있습니까? 지시한적 있으세요?”) “뭐? 아니.”
당시 사정당국이 무혐의 처분을 내렸지만 이번 법사위 국감에서 재조명 되며 재수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에서입니다.
신한금융이 탄탄했던 기관·금고 사업에서 연이어 고배를 들고 조직 수뇌부간 내부갈등 조짐, 적폐청산 관련 비자금 사건 등이 재부각되는 등 신한사태 이후 잠잠해 지나 싶던 때 아닌 리스크에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고영욱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