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국내 제약산업 육성방안에 대해 박승원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박 기자, 먼저 정부가 올해 안에 향후 5년 제약산업을 어떻게 육성할 것인지 최종 방안을 발표하기 전에 전문가와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를 열었다구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어제였죠. 올해 안에 발표될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기 위해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현재 정부는 5년 단위로 제약산업 육성, 지원을 위한 로드맵을 세우고 있는데요. 올해 말 종료되는 1차 종합계획에 이어 새로운 청사진을 그리고 있는 겁니다.
이미 지난 3월 산학연관 전문가 80여명이 참여한 '제약산업 중장기 전략기획단'을 구성해 세부 추진과제와 실행 계획을 마련해왔습니다.
<앵커>
가장 관심이 큰 부분이 바로 국내 제약산업에 대한 정부의 비전일텐데요. 정부의 비전은 무엇인가요?
<기자>
네. 정부는 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의 비전을 '국민에게 건강과 일자리를 드리는 제약 강국 도약'이라고 세웠습니다.
이 가운데 정부가 가장 강조한 부분이 바로 글로벌 신약 개발인데요.
정부는 내년 신약 5개 개발에 이어 2022년 17개, 2025년 25개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개발 즉, R&D 지원이 대폭 늘어납니다.
현재 정부는 1조7천억원 규모인 민관 R&D 투자금액을 오는 2022년까지 2배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부는 우선 첨단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R&D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줄기세포 치료제의 연구지원 확대는 물론, 배아줄기세포 유래 세포 치료제,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세포 치료제 등 획기적인 차세대 세포치료제 개발에 적극 투자한다는 방침입니다.
퇴행성 신경질환, 난치성 암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치료제 개발에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신약 개발을 위해선 R&D 지원과 함께 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도 중요한데요. 이와 관련해선 어떻게 나아간다는 계획인가요?
<기자>
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한 신약 개발 생태계 조성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가 R&D사업을 통해 생산, 수집된 화합물, 유전제, 건강보험 정보 등의 공공 빅데이터 활용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여기에 임상시험에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웨어러블 기기 등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지닌 융복합 기술 즉,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임상시험센터도 구축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신약 개발과 함께 제약산업 일자리 창출도 비전으로 제시됐는데요. 일자리 어떻게 늘리겠다는건가요?
<기자>
R&D와 함께 일자리는 1차 종합계획에 이어 2차 종합계획에서도 강조된 부분인데요.
우선 정부는 제약산업 일자리를 내년 11만개에서 2022년 14만개, 2025년 17만개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제약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인 만큼, R&D, 비임상·임상, 상용화·제품화 등 다양하고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판단인데요.
이를 위해 제약바이오 인접학과 졸업생에게 이론과 실습 단기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취업연계형 인턴쉽을 통해 인건비 일부를 정부가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여기에 제약산업 은퇴자, 경력단절 전문가를 국내 스타트업, 벤처기업과 연계하는 네트워크 구축에도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아울러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제약바이오 창업 활성화가 뒷받침돼야 하는 만큼, 기술창업·사업화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창업기업에 대한 오픈이노베이션을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신약 개발과 일자리 창출 외에 정부가 또 역점을 두는 게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기자>
네. 1차 종합계획에 이어 2차 종합계획에서도 강조된 부분인 수출 지원입니다.
우선 정부는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한국 제약산업 홍보회 개최는 물론, 한국 제약산업 글로벌홍보단을 구성해 운영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중동, 중남미 등 신흥국 제약시장에 대한 현지 정보가 여전히 부족한 만큼, 글로벌 정보센터를 운영하고, 다른 나라 정부간 협력 확대를 통한 해외진출 플랫폼도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국내 제약회사의 수출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지원책도 나왔는데요.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생산시설을 고도화하고, 해외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즉, cGMP 인증을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제약산업 글로벌 컨설팅을 지원하고, 해외 전략적 협력사 발굴과 글로벌 시장진출을 위한 해외거점 설립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지금까지 살펴본 정부의 지원방안을 보면 긍정적으로 보여지는데요. 그런데 이번 정부의 방안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구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선 전문가들은 이번 2차 종합계획에 대한 구체성이 없다고 지적합니다.
수많은 지원 계획이 담겨 있지만, 이를 통해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큰 그림을 알 수 없다는 건데요.
제약강국으로 가려면 결국, 제약기업을 육성해야 하는데, 미국이나 유럽형 다국적 기업을 키우겠다는 등 정부가 추구하는 제약산업 정책의 비전이나 목표가 보다 명확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겁니다.
여기에 여전히 현장의 니즈 즉,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됐습니다.
특히, 이번 R&D 지원의 경우 후보물질 개발과 같은 연구쪽에 치중돼 있는데, 실제 현장에서 지원이 필요한 부분은 공정, 출시, 임상시험 등 공정개발 부분이라는 겁니다.
<앵커>
정부가 국내 제약산업 발전을 위해 여러 가지 지원책을 내놨지만, 업계의 입장에선 여전히 부족한 면이 많아 보이네요. 최종 방안을 발표하기 전까지 업계가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방안들이 담겨야 할 것 같습니다. 박 기자 수고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