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피부과 정진호 교수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자외선이 피부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을 만들고, 이 호르몬이 뇌에 영향을 미쳐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인 해마의 신경섬유 생성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이 생쥐 피부에 2주간 총 6회 자외선을 쬐게 한 후 뇌의 해마에서 새로 만들어지는 신경섬유의 양과 신경을 연결하는 시냅스 단백질 변화를 관찰한 결과다. 해마는 우리 몸에서 기억력과 인지기능 등을 담당하는 부위로, 항상 새로운 신경섬유를 생성시킨다.
연구팀에 따르면 자외선을 피부에 쬔 생쥐는 정상 생쥐와 비교했을 때 신경섬유 양과 시냅스 단백질(NMDAR2A, PSD-95)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신경을 형성하는 중요 인자인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도 감소했다.
또 자외선을 쬔 생쥐의 혈액에는 피부에서 생성된 코티솔의 양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이 혈액을 타고 뇌에 작용해 해마의 인지기능을 저하시킨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71129/B20171129151908513.jpg)
즉, 스트레스를 받으면 기억력과 인지기능이 나빠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외선을 받으면 기억력이 떨어지고 머리가 나빠질 수 있다는 결과라고 연구팀은 의미를 부여했다.
정 교수는 "자외선이 기억력과 인지기능을 감소시키는 많은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이라며 "외출할 때에는 항상 선크림 등을 발라 자외선에 의한 뇌 기능 손상을 최소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