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80%는 임종 예측 시 본인에 남아있는 기간과 치료 유무 등을 구체적으로 알기 원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환자의 인식 변화에 걸맞은 `호스피스와 연명의료 및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관한 종합계획`(이하 호스피스·연명의료 종합계획)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윤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7일 서울대병원 행정관에서 열린 호스피스·연명의료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결과에 대한 공청회에서 이같은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공청회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연명의료 유보·중단 등의 결정에 관한 지난 8월부터 암 외 다른 말기질환까지 확대된 호스피스 제도의 안착을 위해 마련된 자리다.
이 교수에 따르면 시민 대상 웰다잉 교육이 증가하고 민간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운동 등이 확산하면서 죽음과 연명의료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었다.
1천1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임종 예측 때 자신의 상태를 알고 싶다는 비율이 80%에 달했다. 이 중 가능한 치료법 유무와 관계없이 본인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는 응답이 40.3%였고, 임종 전까지 남아있는 기간 26.1%, 임종 전까지 예상기간과 받을 수 있는 돌봄 서비스 15.2% 등이다.
죽음이 두렵지 않다는 응답도 69.5%로 2009년 같은 조사의 59.7%보다 매우 증가했다.
이에 따라 종합계획의 목표를 `국민의 존엄하고 편안한 삶의 마무리`에 두고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연명의료 중단 등 결정의 기회를 제공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조성하고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확대해야 한다"며 "양질의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대상 질환도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도의 안착을 위해서는 당장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이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백수진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연구부장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지정을 확대하는 한편 연명의료계획서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변경 및 철회가 가능한 정보처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등록 및 관리 시스템 구축 및 통합 정보포털 홈페이지 마련을 위한 용역이 진행 중이다.
복지부는 이날 공개된 연구용역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조만간 5개년(2018~2022년) 호스피스·연명의료 종합계획을 확정하고 국가호스피스연명의료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내년 2월께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