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1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열린 차관급 실무회담에서 금강산 합동문화행사 개최 및 북한 마식령 스키장을 평창동계올림픽 계기에 활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협의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두 사안은 모두 우리 정부에서 먼저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9일 고위급회담에서 우리가 제안했고 이후 문서교환을 통한 협의에 이어 오늘도 협의가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전인 지난해 1월 강원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북한의 금강산호텔이나 마식령 스키장 등을 숙소나 훈련시설로 활용하고 금강산에서 동시 전야제를 하면 세계적인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의 구상이 1년여 만에 실현될지 주목된다.
북한이 올림픽위원회대표단과 선수단, 응원단 등이 서해선 육로를 이용하여 남측으로 이동하는 안을 우리측에 제시한 부분도 주목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서해선 육로는 경의선 육로를 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경의선 육로는 평양에서 개성,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 파주로 이어지는 도로로, 개성공단 입·출경에 사용됐다.
남북이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해 논의하는 자리에서 금강산 및 개성공단 중단 이후 끊겼던 경의선 육로 이용이 언급되면서, 이를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재개 문제와 연관 짓는 시각도 일부 있다.
두 사업이 회담에서 직접 논의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 남북회담이 잇따르고 연락 채널 복원 등 관계 회복을 위한 조치들이 이어지는 분위기 속에서 남북이 장기적으로 두 사업의 재개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한 입장에서는 이번 기회를 통해 개성공단 등에 대한 분위기를 보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번 논의는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에 국한된 것일 뿐 개성공단이나 금강산관광사업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두 사업은 북핵 문제 진전이 있어야 검토할 수 있다는 기존의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평창동계올림픽 이후에도 지금의 화해협력 분위기가 이어져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본격적인 의견 교환이 이뤄질 때는 이번 논의가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오늘 논의가 당장은 금강산관광이나 개성공단 재개와 연결되기는 힘들지만 향후 남북관계 개선 행보가 계속될 경우엔 논의과정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남북화해의 상징으로 여겨지던 두 사업은 보수정부에서 중단됐다.
금강산관광은 2008년 관광객 박왕자 씨 피격 사망 사건 이후 멈췄고, 개성공단은 2016년 2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이은 장거리로켓 발사에 대응한 우리 정부의 조치로 전면 중단됐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