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중국 최대 정치경제 행사인 양회 대회가 열리게 되는데요. 먼저 양회 대회가 무엇인지 말씀해 주시지요
-중국, 중요한 세 가지 ‘연례행사’ 개최
-매년 3월 양회?10월 전회?12월 공작회
-공장회의에서 다음 해‘경제 밑그림’ 설계
-경제 밑그림, 3월 전인대에서 ‘공식 결정’
-3년 맞는 ‘신창타이(新常態) 목표’ 구체화
올해 양회에서는 신창타이 정책목표를 구체화한다고 하셨는데요. 어떻게 하는 것이 신창타이 정책목표를 구체화하는 것입니까?
-신창타이, 시진핑이 강조한 ‘뉴 노멀’ 의미
-고속성장 대신 ‘중속성장’으로 전략 전환
-올해 목표성장율 6.5%∼7.0% 밴드제 유지
-신창타이 1, 2차년도 긍정적 평가‘성과 박차’
-경제 책임자 교체, ‘리커창’→’류허’로 넘어가
말씀하신 올해 거시경제 목표 중에 우리로서는 중국 경제 성장률이 하향 조정되는 것이 가장 관심이 되는데요. 왜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는 것입니까?
-질적 성장 단계, 목표성장률 큰 의미 없어
-중국처럼 사회주의 국가 ‘성장경로’ 중요
-초기에는 노동집약적인 ‘외연적’ 성장단계
-그후 생산성 증대 통한 ‘내연적’ 성장단계
-질적 성장 단계, 목표성장률 큰 의미 없어
-시진핑 정부 들어 ‘내연적 단계’ 이행중
-양적 성장 부작용을 질적 성장으로 해결
-policy mix, 통화-거품해소, 재정-경기안정
질적 성장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셨는데요. 또 다른 목표인 질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십니까?
-권력층 중심으로 부정부패범 ‘강력 처벌’
-고성장 지향할 경우 ‘경제적 렌트’ 발생
-내부적으로 부패 척결해 ‘법치주의’ 확립
-개혁, 민생안정?사법개혁?테러방지 논의
-부채과다?부동산 거품? 그림자 금융 해결
현재 중국 경기는 어떻습니까? 최근까지만 하더라도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시각이 많지 않았습니까?
-중국 경제 국제위상 ‘지속적으로 높아져’
-금융위기후 세계경제 ‘저성장 국면’ 진입
-미국 경제 2%대 vs 중국경제 6%대 ‘성장’
-저성장 국면속 상대적으로 성장률 높아
-경기순환상으로 2016년 2분기 이후 ‘회복국면’
최근 들어 중국 증시도 질적으로 많이 변화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까?
-증시 질적 개편 ‘지수’보다 ‘종목 차별화’
-주가, 성장률만이 결정되는 것은 아님
-질적 지표 개선될 경우, 주가 ‘큰 폭 상승’
-특히 글로벌 사회에서는 국제신뢰 중요
-위안화 국제화 과제 성공시 ‘성장률’ 보완
시진핑 정부의 또 하나 큰 과제가 위안화 국제화 과제인데요. 위안화 환율에 대해서는 어떤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십니까?
-달러당 6.5위안 내외, ‘스위트 스팟’ 평가
-위안화 절하와 환율전쟁, 중립기조 유지
-위안화 절하시, 트럼프 정부와 마찰 증대
-위안화 국제화 과제 추진에도 차질 발생
-외환제도 개선, 당분간 관리변동제 유지
이번 양회 대회를 계기로 중국이 많이 변신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하는지 끝으로 말씀해 주시지요.
-美?中 갈등구도, 중간자로서 ‘균형 유지’ 중요
-한국 경제, 중국 경제 의존도 너무 높아
-천수답 구조와 유커 윔블던‘동반 심화’
-사드 배치 보복, 대책 없이 그대로 당해
-아세안?중동?아프리카 등 대체시장 마련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