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07/AKR20180307148600064_02_i.jpg)
이시종 충북지사는 7일 제천을 방문한 자리에서 북부권 3개 지자체가 충주댐 건설로 생긴 호수 명칭을 두고 갈등을 겪는 것과 관련, "민감한 사안이어서 쉽게 결론낼 문제가 아니다"라며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이 지사는 이날 "(충주댐 호수 명칭과 관련) 의견을 모으는 등 사전적 절차가 필요하다"며 "시간을 갖고 접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2개월 안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며 "자문단을 구성해 의견을 듣고 토론도 해야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지사와 민주당 지사 후보 경쟁을 벌이는 오제세 의원의 발언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오 의원은 지난 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충주댐 유역의 호수는 (수몰) 면적이 제천 쪽이 훨씬 많아 청풍호라고 부르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선 오 의원이 이 지사에 대한 지지세가 강한 이 지사의 고향 충주보다는 제천의 표심을 의식해 한 발언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제천 시민단체인 제천사랑청풍호사랑위원회는 이 지사 방문에 맞춰 이날 오후 2시부터 제천시청 정문에서 집회를 열어 `청풍호` 명칭의 당위성과 타당성을 알렸다.
1985년 건설된 충주댐은 충주·제천·단양 3개 시·군에 걸쳐 97㎢의 담수 면적을 자랑한다.
국가기본도에는 충주댐에 있는 호수를 충주호로 표시하고 있지만, 제천시는 댐 건설 당시 수몰 면적이 가장 넓고 담수 면적도 제천이 가장 넓다며 청풍호로 지칭해 왔다. 제천시 청풍면의 호칭을 딴 것이자, 충청도를 일컫는 청풍명월과도 맥이 닿는다는 이유에서다.
각종 행정서류에도 충주호가 아닌 청풍호로 표기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07/AKR20180307148600064_03_i.jpg)
최근 국토지리정보원이 충주호라는 명칭이 국가지명위원회 의결을 받지 않았으며 해당 수역은 `지명 미고시 수역`이라고 밝히면서 또다시 3개 시·군이 호수 명칭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 지사는 이날 제천시가 추진하는 예술의 전당 건립, 중부내륙고속화도로(청주 북이∼제천 봉양) 건설, 중앙선(제천∼원주) 복선 전철화, 제천∼강원 평창 국지도(82호선) 확·포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이날 제천 방문을 마지막으로 충북 11개 시·군 순방을 모두 끝냈다.
이 지사는 "시군 방문을 통해 도민들에게 들은 소중한 의견을 면밀히 검토해 도정 운영에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