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상위 20% 평균 집값 14억8204만원 기록,
고급 주택 확대로 수급 불균형 해소해야
정부의 고강도 규제 속에서도 서울 고급 주택 가격은 최근 1년 동안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과 용산 등 고급 주택을 중심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 상승이 가파른 것으로 분석된다.
KB국민은행 자료에 따르면 올 3월 기준 서울의 주택 상위 20% 평균가격은 14억8204만원을 기록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전년 동월 기준 12억70만원보다 23.43%가 오른 수치이며, 지난 2월 대비 한 달 사이에 6% 이상 더 상승한 것이다.
특히 서울의 고급 아파트 상승세는 더욱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KB국민은행이 집계하는 KB선도아파트 50지수는 올 3월 145.5을 기록하며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최근 9년간 오름폭이 가장 컸다는 지난 1월에 비해서도 7.4% 상승했고, 전년 동월비 기준으로는 29.46% 상승했다.
KB선도아파트 50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50개 아파트 단지의 시가총액 변동률을 지수화한 것이다. 여기에 속한 단지는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강남구 대치동 `은마` 등으로 대부분 서울의 고가 대단지 아파트로 구성된다.
가격 상승의 근본적인 원인, `고급 주택 수급불균형`
업계에서는 이 같은 고급 주택 가격상승의 원인을 높은 희소가치 때문이라 분석하고 있다. 고급 주택에 대한 수요는 늘어난 반면, 정부의 획일화된 분양가 통제로 공급은 그에 미치지 못해 결국 한정된 시장에 수요가 쏠려 가격이 치솟는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통해 2016년과 2017년 서울 분양권과 입주권 거래 현황을 전수 조사한 결과 2016년 거래건수는 9936건, 2017년은 8356건으로 전체 거래량은 줄었지만 15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건수는 226건에서 392건으로 무려 73.45%가 증가한 바 있다.
고급 주택에 대한 관심은 신규 분양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21일 청약 접수한 `디에이치자이 개포`는 분양가가 3.3㎡당 4,160만원으로 웬만한 가구는 10억원을 훌쩍 넘는 초고가 아파트인 데다 중도금 대출까지 막힌 만큼 최소 7억 원 이상의 현금 동원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1순위 청약에 3만 1,423명이 청약해 평균 25.2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분양가가 30억원이 넘는 전용 173㎡ 타입에도 4가구 모집에 81명이 몰려 20.25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고, 단 1가구를 공급하는 전용 176㎡ 타입에도 16명이 청약을 신청해 16대 1의 경쟁률을 보여 고급 주거 선호경향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이에 반해, 공급은 미진하다. 최근 3년간(2015.01~2018.01) 서울에서 일반분양 물량을 살펴보면 분양가 15억원 이상의 고가주택은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등 1025가구가 전부이다. 3년간 서울의 일반분양 가구수가 4만9288가구인 점을 고려하면 단 2%에 불과하다.
최근 `디에이치자이 개포` 등 분양이 시작되긴 했지만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분양 보증 기준에 따라 분양가를 낮추면서 분양 일정이 지연된 바 있고, 한남동의 외인아파트 부지에 들어서는 고급 주거 단지인 `나인원 한남`도 분양보증심의 문제로 분양이 지연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는 "고급 주택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서 기인한다"며, "고급 주택의 공급 확대를 통해 일부 지역에만 집중된 수요를 분산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