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가상통화 교환업협회는 10일 열린 금융청 가상화폐 관련 전문가연구회에서 관련 통계를 공개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1일 전했다.
통계를 보면 현물거래는 20%, 80% 이상이 예치금 거래나 선물거래로 나타났다.
대표적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이 전체 거래의 90% 이상을 차지했으며 예치금의 77%는 10만 엔(약 99만6천 원) 미만이었다.
연 364만2천명에 달한 고객의 80% 이상이 20-40대 였고 10대도 1만5천명 있었다. 협회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리플, 비트코인 캐시, 라이트코인 등 주요 5개 가상화폐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금융청의 한 간부는 "통계상으로 가상화폐가 투기대상이라는 사실이 드러났고 가격도 널뛰기를 하고 있다"면서 "지금 상태로 그냥 두어서는 투자자 보호가 불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라 업계에 대한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가상화폐가 자금세탁에 이용될 우려가 크다는 판단도 감시를 강화한 배경이다.
금융청은 지금까지는 가상화폐 업계 육성에 중점을 둬 왔다. 개정 자금결제법에서도 교환업자를 면허제가 아닌 등록제로 했으나 코인체크 사고를 계기로 교환업자의 허술한 자산관리와 경영자의 고객자금 유용 등이 드러나자 2차례에 걸쳐 행정처분을 단행, 등록을 포기한 업자도 나오고 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80411/B20180411105152330.jpg)
(일본 가상화폐 업체 코인체크 / 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