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 실적이 3년새 반토막이 났습니다.
지난 2015년 제3차 해외건설진흥기본계획을 내놓으며 해외건설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겠다던 정부의 계획이 무색할 정도인데요.
신용훈 기자가 짚어봅니다.
<기자>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290억달러.
전 년보다 40% 가까이 줄었습니다.
2010년 당시 716억달러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14년까지 줄곧 600억달러 안팎을 유지해오던 해외건설 수주액이 2015년이후 급감하면서 3년만에 반토막이 난 겁니다.
특히 리먼 사태이후 글로벌 경기가 급격히 냉각됐던 2009년 당시(491억달러) 보다도 실적이 좋지 못합니다.
올해 역시 4월 현재까지 104억달러에 불과해 연말까지 300억달러를 넘기기도 힘겨운 상황입니다.
이처럼 해외건설 수주액이 최근 급감한 원인으로는 유가 하락으로 중동지역 대규모 발주가 줄어든 데다 정부 재정한계에 부딪힌 중동이나 신흥국들이 파이낸싱을 요구하는 발주가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인터뷰>이용광 해외건설협회 건설사업부 실장
"시공자가 금융을 들고와라 공사 사업비가 100이라고 하면 (발주한) 정부쪽에서 20정도만 하고 80은 시공자가 금융을 끌어오라는 식의 발주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건설사가 자금을 끌어와 공사를 하면 해당 발주국가 정부에서 지급보증을 해주는 형태로 해외건설 발주 형태가 많이 바뀌었지만 문제는 국내 건설사들의 금융조달 경쟁력이 경쟁국에 비해 취약하다는 점입니다.
수출입은행이나 무역보험공사를 포함한 국내 금융기관은 프로젝트 사업성보다 건설사의 재무신용도 위주로 자금조달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도 여전히 많습니다.
일본이나 중국 등 해외 국가들이 정부차원에서 금융이나 외교 등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 입니다.
정부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15년 '제3차 해외건설진흥기본계획'을 통해 투자개발형 사업을 활성화하고, 진출지역·진출분야 다변화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또 2조3천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민간금융의 해외투자를 촉진하고 투자개발형 사업을 활성화하겠다고 했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해외건설 시장은 최근 3년간 오히려 축소됐습니다.
국토부는 자본금 2,000억원 규모의 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를 설립해 투자개발형 수주를 지원한다고 나섰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 하나당 수천억원에 달하는 해외건설 공사에 KIND가 얼마나 큰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습니다.
<인터뷰> 건설업계 관계자
"어느 정도 기대는 하고 있지만 규모가 사실은 참 문제에요 그 정도 갖고는 사실 프로젝트 하나 큰 프로젝트 같은 경우는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고..."
그나마 2,000억원의 자본금도 제대로 확보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매년 지속되는 정부의 보여주기식 해외건설 활성화 정책에 국내 건설사들의 글로벌 경쟁력은 갈수록 빛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용훈 입니다.
관련뉴스